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뽀로로
뽀로로23.06.19

차가운 음료가 실온에 두면 겉면에 물방울이 왜 생기는건가요?

냉장 보관이나 냉동 보관했던 음료나 통을 실온에 꺼내두면 병 겉면에 물방울이 생기게 되는데 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당 음료의 차가운 온도에 의해서 주변에 수증기들이 액화가 되는 것 입니다.

    이는 새벽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과 유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차가운 음료를 실온에 두면, 음료와 주변 공기 사이 온도 차이로 인해 음료의 겉면이 서서히 물방울로 덮이게 됩니다. 이것은 물방울이 생기기 전에,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음료의 표면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차가운 음료는 주변 공기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음료 표면에 닿으면 냉각되어 수증기가 액체 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음료 표면 위에 적은 물방울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차가운 음료의 온도가 실온과 차이가 있을 때, 음료의 표면은 주변의 공기와의 열 교환에 의해 냉각됩니다. 이로 인해 음료 표면 온도가 주변 공기의 이슬점에 가까워지면서 습기가 응축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음료수는 시원하기 때문에 공기중에 수분과 만나 물방울로 액화 되기 때문입니다

    음료수 병 주변 낮은온도로 인해 그렇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의 온도차이로 발생하는 결로현상입니다.

    공기에는 항상 수분을 머금고 있으며, 온도에 따라 포화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온도가 낮아지면 포화도도 떨어지게 됩니다.

    차가운 음료를 담은 컵 표면은 주변보다 온도가 낮고 포화도도 낮아지며 컵 주변의 공기는 포화도를 넘은 수분이 응결하여 물방울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음료수 병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은 결로현상이라고 불립니다 결로현상은 공기 중에 습기가 포화상태에 이르렀을 때 공기 중의 습기가 액체로 변하여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중에 수증기가 차가운 음료수를 만나서 표면에서 열을 빼앗기면서 온도가 내려가서 액화 되면서 음료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