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치과

2년안에 서울가기
2년안에 서울가기

치과 치료 예정이면 골다공증 치료 안되나요

엄마가 치과 치료 예정되어 있는데 골다공증 주사 맞는게 미뤄졌어요 도대체 이건 왜 그럴까요

무슨 연관 관계가 있을까요?? 맞으면 치료는 얼마나 미뤄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골다공증 주사를 맞게 되면 뼈가 잘 재생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잇몸 수술을 했을 경우 골괴사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치과 치료 특히 임플란트나 치주 수술이 예상되어 있다면 골다공증 치료를 미루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확인을 위해서 치과에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일반적인 보존치료(충치치료, 신경치료, 크라운 등)에는 골다공증 주사가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치아를 뽑고 해당 부분에 외과적인 시술을 해야 하는 경우라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외과적 시술에서 골다공증 약을 복용하고 있다면 발치나 수술 이후 정상적인 뼈 회복이 되지 않을 수 있어 치료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치료가 얼마나 미뤄질지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은 다니시는 내과에 자문을 구해서 언제까지 미뤄야 하는지 상의를 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치과 치료 예정이 어떤 것인지에 따라서 골다공증 약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임플란트 등은 영향을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

    뼈는 원래 생성도 되고 파괴도 되면서 순환이 일어나는데요. 골다공증 주사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해서 뼈를 더 튼튼하게 만듭니다. 하지만 임플란트와 같이 뼈를 건드리면 새로운 뼈는 생성이 되고 갈려나간 뼈나 쓸모가 없어진 뼈는 파괴되면서 치유가 되어야 하는데요. 골다공증 주사 때문에 쓸모가 없어진 뼈들이 파괴가 안되고 남아서 뼈에 염증이 생기고 괴사되면서 문제가 됩니다. 이를 MRONJ라고 하는데요(과거에는 BRONJ라고 불렸습니다.). 보통 6-12개월 정도 중단하는데 평소에 주사하는 약에 따라 조금 달라지기도 하고 주사를 얼마나 오래 맞으셨는지도 영향을 미쳐서 자세한 사항은 치과와 골다공증 치료를 받는 병원에 문의해보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골다골증 주사나 약을 드시고 계신다면 발치나 임플란트 하실떄는 약을 중단하시고 치료를 하셔야됩니다. 휴약기간은 약을 드시는 병원과 상의를 해보셔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