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기막힌다람쥐80
기막힌다람쥐8023.07.13

GDP국내총생산이 높을 수록 경제적인 선진국인건가요?

GDP국내총생산이 높을 수록 경제적인 선진국인 건가요? 우리나라도 GDP가 높은 편에 속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국가총부채도 국내총생산안에 들어가는 대상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국내총생산)는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선진국의 지표로 사용되지만, 단순히 GDP 수치만으로 국가의 경제적인 선진성을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GDP는 국가의 경제 활동으로 생성되는 총 가치를 측정하는 지표로, 경제 규모를 파악하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경제의 모든 측면을 반영하지는 않습니다.

    경제적인 선진국은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선진국은 GDP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추고 있을 수 있습니다.

    1) 고도의 기술 개발과 혁신: 선진국은 고도의 기술 개발과 혁신을 추구하며, 산업 부문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제적인 성장을 이루어냅니다.

    2) 인프라와 시설의 개발: 선진국은 충분한 인프라와 고급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경제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통, 통신,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편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3) 교육과 인력 개발: 선진국은 교육 체계가 발전되어 높은 수준의 인력을 양성하고, 지속적인 인력 개발에 투자합니다. 고려할만한 요소 중 하나는 능력 있는 인력의 보유입니다.

    4) 정치적 안정과 법률 체계: 경제적인 선진성을 갖춘 국가들은 정치적인 안정과 법률 체계의 견고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와 경제적인 활동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GDP는 경제적인 선진성을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이지만, 전체적인 경제, 사회, 기술, 인프라, 인력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경제적인 선진국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GDP 외에도 다양한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가 높다고 하여 무조건 선진국은 아닙니다.

    10위권 국가에 중국과 인도가 있고 이들은

    경제대국이지만 선진국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GDP가 높을수록 선진국으로 분류되나, 선진국이란 일반적으로 경제발전,인프라와 기술 발달, 교육,인적 자원,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성,복지,정치적 안정 등등 수많은 지표와 요소들을 갖고 판단 하기 때문에 단순히 GDP가 크다 작다로는 선진국을 판별할 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국내총생산이 높으면 선진국일 가능성은 높으나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개인적오로 국가 GDP보다는 개인 GDP가 높아야 선진국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빈부격차를 나타내지 못하는 등 경제 선진국을 대표하는 지표로 쓰기에는 부적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총생산이 높으면 선진국에 속할 확률은 큰 편이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GDP순위는 중국이 2위지만, 선진국으로 부르지는 않으니까요. 보통 1인당 GDP를 많이 따집니다만, GDP가 선진국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아닙니다.

    국가부채는 보통 GDP대비 국가부채 비율로 따로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