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아직도호감있는김밥
아직도호감있는김밥

현행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평가방법은?

현행 2022 교육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의 평가 방법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앞으로는 고등학교에서 대입을 위해서 수행평가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들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교 평가방법은 목적에 따라 크게 진단평가와 형성평가, 총괄평가, 수행평가, 지필평가로 구분 됩니다.

    그리고 단원평가 자체는 사라지지 않았지만 객관식 중심 시험이 아닌 과정 중심 상시 평가로 변화 되었기에

    평가방식은 오프라인 지필시험 보다 학생의 학습과정 중심으로 구성 되어됩니다.

    2025년 초등학교 평가방식.단원평가는 앞서 언급했듯 지필평가 대신 상시/수행평가 중심으로 운영 하도록

    지침에 명시 되어 있습니다.

    대신, 과정 중심 상시평가가 도입되어 서술형.논술형 평가, 포트폴리오 기록, 관찰.면담 평가, 자기.동료 평가 등이

    평가방식에 포함 됩니다.

    고등학교 대입을 위해 도움이 되는 것은 앞서 언급한 서술형.논술형을 대비 입니다.

    문제를 이해하고 인지하고, 상황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것이 서술형.논술형 학습의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현행(2022개정)초등학교 평가 방법은 지필평가 없이 수행, 과정 중심 평가가 원칙입니다. 교사가 수업 중 학생의 과제 수행 과정과 결과를 관찰하고 발표,토론,논술,포트폴리오,자기,동료 평가 등 다양한 형태로 성장중심으로 평가합니다. 수행평가는 교과별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학기 중 두차례 이상 가정에서 평가 결과를 안내합니다.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제도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예전처럼 초등학교에서 시험을 치는 제도는 없어졌습니다.

    초등학교 평가방법이 수행평가로 변경되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수행평가는 교육부에서 초등학교에 권장하는 시험 방식입니다.

    학생들이 학습하는 모든 과정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평가할 수도 있고, 그림을 그리는 태도와 그림 결과를 함께 평가하기도 합니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그 학년에서 꼭 배워야 할 것은 '성취 기준'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단원평가, 교사평가를 병행합니다.

    수행평가의 종류는 서술형, 논술형, 구술시험, 실기시험, 실험·실습, 면접, 관찰, 연구보고서, 포트폴리오(작품집 평가) 등으로 다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