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골연화증 추벽증후군으로 추벽 제거술 했는데 회복이 왜이렇게 더딜까요?
작년11월초에 오른쪽 무릎 수술하고 처음엔 걷기도 힘들고 계단은 쳐다다 보지 못했는데, 계속 주사맞고 약먹고 하니까 점점 낫더라구요
그래서 2월에 더이상 주사는 안맞는게 좋고 약도 줄이다가 먹지 맙시다 하는 주치의 선생님 의견으로 병원을 안간지 좀 되었는데. 사실 그전부터 썩 그렇게 회복된건 아니었지만 괜찮아 지것지 하고 있었습니다. 어차피 못걸어서 직장도 퇴직하고 무릎은 더이상 못쓰겟다 싶어 다른 일을 하고자 직업 훈련학원 왔다갔다 말곤 움직일 일이 잘 없습니다. 근데 이게 멈춘게 아니고 점점더 아픈거 같아요..애초에 쪼그려 앉거나 양반다리는 못했어서 개의치 않는데 살짝 두세발짝 뛰기만 해도 엄청 고통스럽고, 계단 오르내리는게 예전엔 그래도 몇칸정도는 괜찮다가 아프기 시작 하는 거였는데 지금은 그냥 아에 처음부터 아파서 계단만 보면 겁부터 납니다. 게다가 왼쪽도 오른쪽 마냥 조금씩 아프기 시작해서 일단 주사 치료만 받았었는데 오른쪽을 못쓰니 왼쪽에 자꾸 의지 하게 되서 왼쪽도 많이 아프기 시작했어요..벌써 5개월이 되었는데 이게 맞는 걸까요? 아니면 뭔가 다른 치료를 받거나 검사를 더 해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무릎 수술 후 5개월이 지났음에도 통증이 악화되고 있다면, 추가적인 검사와 치료가 필요해 보입니다.
수술 후 회복 과정은 개인차가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과 불편함이 점차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현재 증상으로 미루어 볼 때 수술 부위의 회복이 더딘 것으로 보이며, 다른 원인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양쪽 무릎 모두 통증이 있고, 특히 왼쪽 무릎으로 통증이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전반적인 무릎 상태에 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주치의와 상담하여 현재 증상과 회복 경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필요한 검사(X-ray, MRI 등)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무릎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물리치료나 재활치료 등을 병행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수술을 받은 후의 회복 과정은 개인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으며, 때로는 예상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회복이 더딘 것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무릎은 몸의 중량을 지탱하고 다양한 움직임에 관여하는 중요한 관절이기 때문에 회복에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술한 무릎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MRI와 같은 영상 진단 검사를 포함한 정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술 부위의 회복 상태, 연골 손상의 정도, 추벽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활은 수술 후 회복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전문가와 함께하는 물리치료나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재활 과정은 무릎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점진적으로 무릎의 기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주치의 와 상의하여 현재 상태에 대한 평가를 받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