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모기 유충을 왜 장구벌레라고 하나요?
모기가 살기 위해서는 물이 필뇨합니다. 물에 알을 낳고 그 알에서 모기 유충인 장구벌레가 살아가는데요. 왜 모기 유충을 왜 장구벌레라고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정중한해파리168입니다.
장구벌레는 모기의 애벌레를 가리킨다. 모기는 한번에 100~700개의 알을 물이 고여있는 곳에 낳는다. 장구벌레는 물 속에서 위아래로 이동하여 먹이를 섭취하는 등 매우 활발하게 운동한다. 집모기의 장구벌레는 꼬리 부분 끝에 있는 호흡관을 수면 밖으로 내어 외호흡을 하며, 4회 탈피 후 번데기로 된다. 반면 학질모기의 장구벌레는 호흡관이 없고, 꼬리끝의 기문을 수면 밖으로 내어 외호흡을 한다. 천적으로는 큰 물고기와 송사리, 미꾸라지, 잔물땡땡이(유충), 그 이외 각종 수생 곤충 이 있다. 특히 잔물땡땡이는 잘 모르고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최근 연구결과 잔물땡땡이 유충은 하루에 장구벌레를 900마리 이상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유충은 생태계유지에 필요한 먹이이다. 특히 물고기, 수생 곤충들은 모기유충을 먹이로 삼는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