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4

조선시대 관료진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한국사 공부하며 궁금한게 있어서요. 조선시대 관료진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었나요? 그리고 어떤 자격 요건을 가지고 있었나요? 그리고 이들 관료가 수행한 공공복리 사업과 정책은 어떤 것이 있었는지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릴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공정한백로247
    공정한백로24723.03.24

    안녕하세요. 한도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관료진은 크게 둘로 나뉘었습니다. 하나는 중앙 관청에서 일하는 중앙 관리관이며, 다른 하나는 지방 관청에서 일하는 지방 관리관입니다.중앙 관리관은 국가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중앙 관청에 속한 관리관들은 사림원에서 선발되었습니다. 그리고 사림원은 이학, 문학, 병역 등 다양한 분야의 시험을 본 후에 합격한 자만이 입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지방 관리관은 각 지방에서 행정 업무를 담당하였으며, 지방 관청에 속한 관리관들은 사림원에서 선발된 후 지방 관청으로 파견되었습니다. 이들 관리관들은 각 지방의 사정에 맞게 임명되었으며, 보통 지방 관리관들은 지방 출신자나 그 지방에서의 경력이 있는 관료가 임명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관료진은 사대부, 중인, 소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들은 권력과 사회적 지위에 따라 구분되었습니다.


    사대부는 국가의 정책을 결정하고 중요한 고위 관리를 맡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최상위인 의정부대, 또는 의정부가 있었는데, 이들은 국가의 입법, 행정, 사법을 책임지는 중추적인 기관이었습니다.


    중인은 사대부와 소인 사이에 위치한 중간 계층의 관료였습니다. 주로 지방 행정, 군사, 경찰, 조사 등의 업무를 맡았습니다.


    소인은 사대부나 중인보다 낮은 계층의 관료였습니다. 주로 각종 부서에서 서기, 문서 작성, 취업 시험 감독 등의 업무를 맡았습니다.


    조선시대의 관료진은 출신지나 세습제 등으로 인해, 불공정한 면이 있었지만, 이들은 국가의 안정과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국가의 지배 체제를 유지하고, 국가의 정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관료는 일단 왕을 측근에서 보좌했던 도승지가 있었고 제일 높은 삼정승이 국가를

    운영하고 정책결정을 하였고 그 밑에 6판서가 지금 장관과 같은 실무 책임자로서 일했습니다. 그 밑에 참판 등 실무진 등이 있었고 그들은

    공공복리 사업으로 혜민서 등을 만들어서 백성들의 의료를 도왔으며 의창이라는 제도를 이어서 백성들을 구휼하기도 했습니다.

    제 답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