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힘찬하늘소177
힘찬하늘소17723.07.25

아관파천이 일어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조선 말기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도망친 사건을 아관파천이라고 부르는것으로 아는데요.


아관파천이 일어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청일전쟁에서 승리해 조선에 대한 우월권을 확보하고 청나라로부터 랴오둥반도 등지를 할양받으나 1895년 5월 일본의 독주를 우려한 열강들, 즉 러시아가 주동하고 프랑스, 독일이 연합한 삼국간섭으로 일본은 랴오둥반도를 청나라에 반환하게 됩니다.

    삼국간섭 이후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인 한 조선은 러시아에 접근합니다.

    그동안 친일 세력에 눌려있던 명성황후 척족세력과 함께 유럽, 미국 공관과 밀접한 접촉을 가지며 친미, 친러적 경향을 보이던 정동파 인사들이 득세하기 시작, 러시아공사 베베르 역시 미국공사와 재한 미국인을 포섭하고 명성황후 세력에 접근해 친러 정책의 실시를 권유합니다.

    이에 친일 세력은 급격히 세력을 상실하며 김홍집 내각이 붕괴, 후 일본공사 이노우에의 매수 정책에 따라 김홍집 내각이 성립되었지만 명성황후 세력과 친미, 친러파가 요직을 장악, 내각은 일본의 주도하게 이루어졌던 개혁 사업을 폐지하고 친일파를 축출합니다.

    일본에 의해 육성된 훈련대마저 해산당할 위기에 처하자, 신임 일본공사 미우라는 1895년 10월 8일 일본인 낭인과 훈련대를 경복궁에 침입시켜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을미사변을 일으키니 결과 세력을 만회한 일본은 친일 내각을 성립시켜 단발령 실시를 포함한 급진적인 개혁 사업을 재개하나 왕비 시해와 단발령 강행은 전국에 걸친 의병 봉기를 초래하게 됩니다.

    전국에 걸쳐 의병이 일어나자 김홍집 내각은 지방의 진위대를 이용해 의병을 진압하려 하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중앙의 친위대까지 동원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수도 경비에 공백이 생기고, 이 기회를 틈타 친러파 측은 고종을 러시아공사관으로 옮기고자 모의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원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96년 2월 11일, 고종과 측근 인사들의 요청에 러시아공사가 동의하여

    고종과 왕세자가 비밀리에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사건.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 고종과 측근 인사들의 요청에 러시아공사가 동의하여 고종과 왕세자가 비밀리에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사건이다.

    을미사변 이후 신변의 위협을 느끼던 고종과 측근 인사들의 요청에 러시아공사 베베르가 동의하여 비밀리에 고종과 왕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사건이다.

    아관파천으로 인해 친일 내각이 무너졌고, 고종은 경운궁 환궁 전 1년 동안 러시아공사관에 머물렀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자료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아관파천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군들이 경복궁을 습격하고 왕비를 시해한게 1895년 을미사변입니다. 이 때 부터 고종은 불안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사실상 거의 궁에 가둬진 상태라고 봐도 무방했습니다. 그래서 당시에 기댈 수 있었던 러시아로 거처를 옮겼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관파천은 조선의 정권을 장악한

    친일 내각에 대한 반발로 초래된

    사건이었다. 을미사변과 단발령 이래

    전국적 반발이 초래된 것을 틈타

    신변 위협을 느끼던 고종의 요청에

    러시아공사관측이 호응하였고 이재순, 이범진, 이완용, 이윤용 등이 계획을

    세워 이루어지게 되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2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관파천이 일어난 계기는 명성황후 시해사건인 을미사변이 빌미가 됩니다. 1894년이후 친러파가 영향력이 커지면서 일본이 불안감을 가지고 명성황후를 시해합니다.고종은 을미사변 이후 한나라의 국모가 궁궐까지 습격을 당해 죽임을 당한 것에 충격을 받고 일본으로 부터 자신을 지켜줄 만한 나라를 찾다가 러시아 공사관으로 가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