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삼성전자가 앞으로 HBM4에서 어떤 성과를 내고 있을까요?

현재 시장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부분은 엔비디아의 HBM4입니다 이부분이 메모리쪽 업체의 주가의 견인을 하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앞으로 HBM4에서 어떤 성과를 낼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HBM4에 대한 리더가 아닌 팔로워가 되고 있는데 현재 SK하이닉스는 이 부분을 선도하며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고 앞으로 전망도 밝습니다

    • 그러나 삼성전자가 이 부분을 소화못할 것은 아니기 때문에 테슬라와의 협업으로 앞으로 더 많은

      수주를 따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 결과적으로 다시 과거의 영광을 찾을 수 있는 기회가 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그동안 HBM 매출이 부진했던 삼성전자는 심기일전하며 HBM4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는데요. 삼성전자는 HBM4에 경쟁사보다 1세대 앞선 10나노급 6세대(1c나노) D램 기술을 적용하고, HBM 두뇌 역할을 하는 로직 다이도 4나노미터(1나노는 10억분의 1m) 파운드리 공정에서 생산한다고 합니다.

    삼성전자는 HBM4 속도를 11Gbps(초당 11기가비트)로 구현하면서 결국 엔비디아 납품이 진행될 것이라 예상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HBM4는 차세대 고대역폭 메모리로, 엔비디아 AMD 등 AI용 GPU 업체가 수요를 주도할 전망입니다. 삼성전자는 HBM3이후 HBM4 개발에도 적극적이며 TSMC, SK하이닉스와 경쟁중입니다. 성공적으로 양산, 공급망 확보에 성공한다면 글로벌 AI반도체 시장에서 주가 모멘텀이 커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SK하이닉스가 HBM3E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HBM4는 기술방식에 변화가 생기면서 새로운 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HBM4에서는 로직 칩과 메모리를 하나의 물리적 계층에 구현하는 기술이 중요해지는데, 삼성전자는 이 분야에서 자체 파운드리 기술을 활용해 강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HBM4를 통해 엔비디아에 성공적으로 공급하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면 이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지형을 크게 바꿀 수 있을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이미 HBM4샘플을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고객사들에게 발송했습니다.

    또한 HBM4생산을 위해 대규모 시설 투자와 설비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HBM4생산에 1c나노 미세 공정과 자체 파운드리의 4나노 공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D램의 집적도를 높이고 성능과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합니다.

    특히, 파운드리 공정을 통해 HBM4의 베이스 다이를 직접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은 경쟁사 대비 큰 강점으로 꼽힙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와 같은 경우에는

    향후 엔비디아에 hbm 반도체의

    납품 가능성이 있는 등 상대적으로

    어느정도 성과를 보이지 않을까 싶으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HBM4에 대한 내요잉ㅂ니다.

    아쉽게도 HBM4 반도체 역시도 SK 하이닉스가

    한 발 앞서 나가는 것으로 보이고

    삼성전자는 아직도 쫓고 있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가 HBM4에서도 약진할 가능성은 있다고 보입니다. HBM4 제품의 대역폭이 2.4TB/초로 경쟁사 대비 20% 우수하다고 전문가들이 평가하고 있으며 과거 주요 문제였던 발열 및 전력 소모 이슈 개선되고 있는 환경입니다.

    후공정 수율이 하이닉스 수준까지 개선되었으며 기존 1α나노에서 1β나노 공정으로 전환하여 근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