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갑자기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어한다면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아이가 친구 집에 다녀온 후 강아지를 키우고 싶다고 조른다면 아이의 책임감 발달에는 도움이 될 것 같지만, 걱정도 될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가 갑자기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다고 하니 어떻게 해야 할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들과 가족회의를 해서 의견을 조율하면 될 것 같습니다.
강아지, 고양이를 키우는 것은 보통 책임감으로는 할 수 없는 것이니 말입니다.
어떻게 보면 새로운 가족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부분입니다.
반려동물이 아이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의 책임감을 강하게 하고, 약자에 대한 배려심을 키워줍니다.
서로에게 좋은 친구가 되어주고, 내성적인 아이도 활발한 성격으로 바꿔줍니다.
마지막으로 반려견과 같은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산책을 시켜줘야 하기 때문에 신체발달에도 도움이 됩니다.
강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거북이, 햄스터, 열대어, 고슴도치, 도마뱀, 마리모, 반려식물, 버섯 등을 키워볼 수도 있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아이의 정서 발달과 책임감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먼저, 아이와 함께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의 장단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세요. 동물을 돌보는 데 필요한 일들(먹이 주기, 산책, 청소 등)을 설명하고, 이러한 책임을 질 준비가 되었는지 물어보세요.
반려동물을 키우기 전에 '체험' 기회를 가져보는 것도 좋습니다. 동물 보호소에서 봉사활동을 하거나, 친구나 친척 집의 반려동물을 잠시 돌보는 경험을 통해 실제로 어떤 책임이 따르는지 배울 수 있습니다. 가족 모두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점도 설명해주세요. 알레르기, 주거 환경, 가족의 생활 패턴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당장 반려동물을 키우기 어렵다면, 대안으로 식물을 키우거나 동물 관련 책을 읽는 등의 활동을 제안해볼 수 있습니다. 결정을 내리기 전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가족 회의를 열어 모두의 의견을 들어보세요. 만약 반려동물을 키우기로 결정했다면, 아이의 나이에 맞는 책임을 부여하고, 함께 돌보는 과정을 통해 생명의 소중함과 책임감을 배울 수 있도록 지도해주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친구들이나 미디어에서 반려동물을 보면서 이를 키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생길겁니다. 하지만 이는 쉽게 생각하고 키워서는 안됩니다. 쉽게 생각해서 키우다가 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이들에게는 이를 확실하게 말을해주고 평생을 책임을 질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진행해주시는게 좋겟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강아지를 키우는 것은 많은 책임이 따르는 것을 알려주세요
매일 산책을 시켜줘야 하고, 똥 오줌도 치워줘야 합니다.
그리고 친척이나 친구들 중에 애완동물 키우는 집이 있다면 체험할 수 있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가족 모두가 동의하고 함꼐 책임질 준비가 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이 모든 가족에게 긍정적인 경험이 되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큰 책임이 따른다는 점을 설명하세요. 먹이주기, 청소, 돌봄 등 다양한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이해시켜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다고 한다면 무조건 안된다고 하기보다는 아이와 대화를 통해 왜 키우고 싶은지 키우게 되면 어떻게 할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해보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반려동물을 키우게 되면 밥주기, 목욕시켜주기, 배변치우기, 산책하기 등의 책임감이 주어지기 때문에 아이가 돌본다고 해도 결국 부모님의 몫이라 생각이 듭니다. 아이하고 솔직한 마음을 이야기해서 신중하게 결정하시면 좋을듯 하며 애견카페같은 곳에 가서 경험할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도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반려 동물 욕구를 존중하되, 책임감과 준비사항에 대해 이야기해보세요. 반려동물의 돌봄이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고, 실제로 키우기전 작은 책임을 맡겨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 함게 반려동물 기르기 책임과 필요성을 논의하세요. 아이가 어떤 동물을 원하는지, 그 동물의 돌봄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며, 가족의 의견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