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나 기타 날개 있는 곤충들이 형광등에 흥분하며 움직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공부하던 중 커다란 파리가 웽웽 소리내는게 시끄러워서 고개를 돌려보니 형광등 주위를 거친 날개짓을 하면서 자기자신을 박치기 하고 있더라고요. 모기처럼 벽에 선비마냥 붙어있으면 조용할 텐데 왜 그러는지 답변바라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벌레들은 LED가 발산하는 빛을 향해 달려들지 않는다.
LED조명은 대부분 벌레들이 좋아하는 자외선 파장을 방출하지 않아서라고 하네요.
실내용 LED조명을 포함한 보통 LED제품은 파장이 400나노미터(nm)에서 320nm 사이로 알려진 자외선을 전혀 방출하지 않는데요..
이 때문에 여름철 LED조명을 사용하면 빛을 보고 달려드는 나방이나 모기떼의 습격을 덜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LED조명은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월등한 광전환효율을 가지고 있는데...백열등의 광전환효율은 5%에 불과하고
형광등도 40%~50% 수준인데 반해 LED조명은 90%이상입니다.
수명 또한 5만~10만시간으로 기존 조명에 비해 60% 이상 길죠...
따라서...벌레들은 자외선을 좋아하고 자기들끼리 모여 있는 것을 좋아하는 섭리가 있습니다.
결국..열이 있는 조명 아래 뗴로 모여있다가 열사하는 경우가 많고..붙었다 떨어졌다하면서 움직임이 많게 나타나는 것이죠..
도움 되셨기를...^^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날개가 있는 곤충들은 빛에 매우 민감합니다. 이들은 자연에서 밤에 활동하고, 달빛이나 별빛과 같은 약한 빛으로도 방향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들은 빛의 방향성과 강도, 파장 등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빛으로 인한 이러한 감각은 인간이 인지할 수 없는 영역인 자외선과 적외선 영역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형광등과 같은 인공 빛을 본 곤충들은 혼란스러워하며, 빛을 따라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형광등 근처에 있는 곤충들은 형광등으로부터 멀어지지 못하고, 빛에 매혹되어 끊임없이 돌아다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곤충들은 빛에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모기나 파리 등이 대표적이죠. 또한 형광등의 발열로 따뜻하니 더욱모여들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방은 야행성 곤충이어서 어두운 밤이 되면 먹이를 찾아 활동을 시작한다. 그런데 움직이기 위해서는 뭔가 나침반 역할이 필요하다. 나방은 불빛을 발견하면 이를 나침반으로 생각하고 주위로 몰려든다. 이를 주광성이 이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리나 기타곤충들은 가시광선보다 적외선을 더 잘 보고 몰려드는데 해당공간에 열에너지가 있을것으로 판단하고, 다른 먹이감이 많을것이라는 것이 학습되어있기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불빛에 모여드는 습성을 가진 곤충이 주광성 벌레입니다.
낮에는 태양, 밤에는 달빛을 나침반처럼 기준으로 잡아서 방향감각을 유지하며 비행을 하는데
달빛보다 더 밝은 인공조명이 있으면 곤충의 눈에는 그것을 달빛으로 착각하고 방향을 조명을 기준으로 삼고 날아가게됩니다.
그래서 불빛에 모여드는거 처럼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날아다니는 벨레 곤충이 빛에 모이는 이유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형광등의 특징 때문입니다.
그래서 LED에는 벌레가 꼬이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