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좋은지식을추구하는침팬치
좋은지식을추구하는침팬치24.04.07

박쥐는 초음파를 낸다고 하는데 어떻게 되는 건가요?

제가 요즘 박쥐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는데요 박쥐는 초음파를 낼 수가 있다고 하는데 동물이 어떻게 초음파를 낼 수 있는 건가요? 어떤 과학적 원리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머리쪾에서 초음파를 발사하여서 물체에 튕겨져 나오는 신호를 감지해서 장애물을 피해갈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의 후두부에 이 초음파라고 불리는 고주파 소리를 발산하게 됩니다. 이러한 초음파로 인하여 앞의 장애물의 여부 등을 판단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탐지하는데 사용합니다. 이러한 능력을 '에코로케이션'이라고 합니다. 박쥐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원리는 고주파 소리를 발생시켜 그 반사파를 듣는 것입니다. 박쥐는 입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주변 환경의 물체와의 거리, 크기, 모양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는 공기 중을 전파할 때 발생하는 파장이 매우 짧고 높은 주파수를 가지기 때문에 박쥐가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특수한 구조를 가진 후두에서 고주파 소리를 내는 근육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냅니다. 후두는 박쥐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얇은 막과 근육으로 이루어진 '음성기관'과 '후두낭'으로 구성됩니다.

    음성기관은 빠르게 진동하여 고주파 소리를 만들고, 후두낭은 공명 역할을 하여 초음파의 방향과 강도를 조절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초음파는 먹이나 장애물에 부딪혀 반사되어 돌아오고, 박쥐는 이 반향을 감지하여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사냥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입술과 코 근처에 있는 근육을 사용하여 초음파를 만들어냅니다.

    이 근육을 사용하여 목구멍과 코를 통해 공기를 내보내고, 이 공기가 고막을 진동시켜 초음파가 발생하는 것이죠.

    그리고 박쥐가 내는 초음파는 주파수가 20kHz에서 100kHz에 이르는 고주파이며 이 초음파는 박쥐의 머리에 있는 귀를 통해 다시 수신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보통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파보다 백배 이상이 되는 초음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박쥐는 스스로 이렇게 진동수가 매우 높은 초음파를 발생시켜 주위에 내보내고 이 초음파가 물체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통해 방향을 잡고, 반사파가 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감지하게 된다고해요.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보통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파보다 백배 이상이 되는 초음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박쥐는 스스로 이렇게 진동수가 매우 높은 초음파를 발생시켜 주위에 내보내고 이 초음파가 물체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통해 방향을 잡고, 반사파가 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감지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