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통증이 없다고 하던데 맞는건가요?
제가 알고 있기로는 뇌는 통증이 없어서 건드려도 괜찮다고 하는데 정말로 뇌는 통증을 느낄수가 없는것인지 아니면 느낄수 있는지 궁금 합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뇌 자체에는 통증을 느끼는 수용체가 없어서 직접적인 통증을 느끼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뇌를 둘러싸고 있는 혈관, 뇌막, 두개골 등 다른 구조물에는 통증 수용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부위가 자극을 받으면 두통과 같은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뇌 수술 중 각성 상태에서 뇌를 직접 자극해도 환자는 통증을 느끼지 못할 수 있지만, 이는 뇌 자체가 통증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며, 주변 조직의 손상은 여전히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아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질문자분께서 궁금해하시는 뇌의 통증 감각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뇌 자체는 통증 수용체가 없기 때문에 통증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경외과 수술을 할 때 뇌 조직을 만지거나 조작하더라도 뇌 자체에서 통증을 느끼지는 않죠. 하지만, 뇌 주변에는 통증을 느낄 수 있는 여러 구조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머리를 감싸고 있는 막이나 혈관, 뇌 주변의 근육과 뼈 등이 자극받거나 손상되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두통을 경험할 때도 사실은 뇌 자체에서 오는 통증이라기보다는 이러한 주변 구조들에서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뇌 자체는 통증을 느끼지 않지만 뇌 주변의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우리는 머리나 주변에서 통증을 경험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부분이 다소 헷갈릴 수 있지만, 뇌의 통증 감각은 주변의 다른 요소들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뇌 자체는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 맞습니다. 뇌에는 통증을 감지하는 통각 수용체가 없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때문에 뇌를 건드린다고 하여서 통증을 느끼거나 하지 않습니다. 다만 뇌는 전신과 신경으로 연결이 되어 있는데 통각 신경이 자극이 되면 그로 인한 몸의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통각신경의 자극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통각수용체를 거쳐 뇌로 전달되면 해당 부위에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뇌는 통증을 수용하는 신경종말이 없어 뇌 자체의 아픔은 느끼지 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