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3.07.04

주식 종목이 상장폐지는 어떤 상황에서 일어나나요?

어떤 주식 종목이 상장이 폐지되는 경우는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 건가요?

또한 이런 상장폐지의 결정은 누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권 상장폐지기준 중 지배구조와 직접 관련이 있는 사항으로는 ① 사외이사 수 미달, ② 감사위원회 미설치 또는 구성요 건 불 충족, ③ 주식 분포상황(소액주주수 및 소액주주 소유주식수) 미달, ④ 불성실공시 등 공시의무 위반, ⑤ 정해진 요 건을 위반한 우회상장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 폐지 요건은 회사의 운영 중단, 파산, 인수합병이 대부분이지만 미국 증시에서는 더 이상의 상장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의 상장폐지도 발생합니댜.

    코스피 유가증권 거래소 상장폐지 요건 기준은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가 200명 미만이 2년 연속 유지될 경우나 200만주 미만의 주주지분율 구성이 5% 미만이 2년 연속 유지될 경우에 상장폐지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코스닥 상장폐지 요건 기준은 보통주의 시가총액이 40억원 미만으로 30일간 지속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을 받습니다. 관리종목으로 지정 후 90일의 기간내 ‘연속 10일간’, '누적 30일간’의 시가총액이 40억원 이상 충족이 되지 않는다면 상장폐지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종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의 상장폐지는 관리종목지정 이후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상장폐지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발생하게 되는데요, 대표적으로 상장폐지요건(관리종목지정요건)은 매출액 기준미달, 자본잠식, 주식 분포 및 거래량 미달, 시가총액 미달, 4개 연도 연속 영업손실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다양한 이유들이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회사의 파산입니다.

    회사가 파산하면, 회사의 주식은 폐지됩니다.

    그외에 기업간 합병이나 인수가 일어나면 합병된 회사의 주식이나 인수한 회사의 주식이 폐지될 수 있고

    국내나 국제법을 위반했을 경우에도 상장폐지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학습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스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들의

    상장폐지 요건은 다음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 - http://listing.krx.co.kr/contents/LST/04/04010500/LST04010500.jsp

    코스닥 - https://listing.krx.co.kr/contents/LST/04/04020500/LST04020500.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