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금리가 떨어져야 수익을 본다?
개인이나 법인이 한국국채 10년물을 구입을 할때,
현 시점 국채금리보다 떨어지면 수익을 본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조금 상세히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국채 10년물을 구입할때 현재 국채금리보다 시장 금리가 떨어지면 수익이 발생하는 이유는 채권가격과 금리 관계를 알아야 합니다.
채권의 가격은 시장 금리와 반비례 관계입니다.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이 상승하고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이 떨어집니다.
국채 발행할때 정해진 이자율로 표면금리가 2%이면 매년 액면가의 2%를 이자로 지급받습니다. 시장 금리가 표면금리보다 낮아지는 경우 채권 수요가 증가해 가격이 오르게 되며 시장금리가 표면금리보다 높아지면 채권 가격이 낮아져 시장 금리와 맞춰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채 금리가 떨어지면 기존에 높은 금리로 발행된 국채의 가치가 가격이 올라갑니다. 예를 들어 연 5% 이자를 주는 국채를 들고 있는데, 시장 금리가 3%로 떨어지면 새로 발행되는 국채보다 내가 보유하고 있는 국채가 더 유리해져 사람들이 더 비싼 값에 사려고 합니다. 그래서 채권을 팔면 시세 차이기 생겨 수익을 볼 수 있는 것 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은 내가 매입했을 때 만기에 받을 돈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러나 중간에 매매를 한다고 가정했을 때 금리가 떨어지면 표면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시세 차익을 올릴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그렇기에 만약 국채를 사서 끝까지 가져간다면 내가 만기에 받을 돈은 변화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의 가격이 이론가격이 어떻게 형성이 되는지 이해하시먼 알수 있습니도
채권이란 가격은 만기에 받을 장부금액과 표면금리고 있습니도
이는 만기에 받은 장부 현금흐름 그리고 중간 기간별로 표면적으로 적힌 고정금리 이자가 현금흐름입니다 이렇게 발생된 기간별로 발생된 현금흐름을 현재 시장금리로 할인한 가격이 채권의 시장가격입니다 즉 현재시장금리가 할인율이고 금리가 오를수록 채권의 미래현금흐름 더 높은 할인율로 적용되서 낮은 가격으로 살수 있는구조인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채 금리와 국채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는데요. 국채 금리가 하락하면 국채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수익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채는 금리가 떨어져야 수익을 보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국채에서는 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기존에 보유한 채권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당시 채권 보유자들은 국채의 가격이 오르기에
수익이 되는 것입니다.
이는 국채의 가격이 금리와 반대로 움직이는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