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차 스틱 운전질문 있습니다! 1종보통
1종면허 취득하고 스틱은 안 몰다가 수동차를 운전할일이 생겨서 그런데 스틱 운전하는법이 가물가물해서 질문남깁니다!
먼저 4단쯤으로 가다가 정지할 상황이 오면 브레이크만 살살 밟다가 20km쯤에서 클러치+브레이크 밟는것이 맞나요? 아니면 뭐 4>3>2단으로 바꿔야 한다는 등 다른 방법이 있나요? 4단에서 2단 한번에 바꿔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정지하고 중립 넣고 출발할때는 단수 올리며 가면 되는거 맞나요?
그리고 좌회전 우화전 할때의 방법이 궁금합니다..!
똑같이 4단으로 주행중이라는 가정하에, 우화전을 한다고 치면 회전 전 브레이크로 속도 줄이고 3단이나 2단 넣고 하는게 좋을까요? 4단으로 우회전 하지말라고 들었던 것 같아서요.. 화전하고 다시 기어 올리는거 맞나요? 회전하는 쉬운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오르막이나 내리막에서는 기어변속 안 하고 진입전 하는게 맞을까요? 내리막 정지도 똑같이 브레이크로 감속 후 클러치 브레이크 맞을까요?
수동차는 면허따고 처음이라.. 자세히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단쯤 운전하다가 정지할 상황이 오면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밟는 것이 맞습니다. 클러치먼저 밟아도되고 브레이크 먼저 밟아도되요 어느순간 엔진이 떨면 나머지를 밟으면 됩니다. 순서는 없습니다.
정지하고 단수올릴때는 1톤차량이면 2단부터도 가능합니다. 힘이 좋거든요
우회전은 4단일때 브레이크를 좀 밞아서 기어를좀 내려주면 부드럽게 회전이 가능합니다. 3단정도가 무난할것 같네요 4단은 좀 빠르죠
오르막에서는 차량 엔진이 높은 단수에서는 힘을 못받아서 내려주면서 치고 올라가는게 좋습니다. 내리막에서는 브레이크로 속도를 조절하시다가 기어를 내려주시면 엔진브레이크가 걸리면서 안전하게 내려가실수 있어요
헷갈리는부분 코멘트달아주세영
수동차는 익숙해지면 정말 재밌지만 처음엔 헷갈릴 수 있어요. 4단 주행 중 정지할 상황이면 브레이크만 밟다가 속도가 20km/h 이하로 떨어질 때쯤 클러치도 같이 밟고 정지하면 됩니다. 꼭 다 거칠 필요는 없고, 감속 중이라면 4단에서 바로 2단으로 내려도 무방해요. 다만 RPM이 너무 튀지 않게 속도에 맞춰 부드럽게 넣는 게 중요합니다. 정지 후 출발할 땐 1단으로 출발해서 속도에 맞춰 2단, 3단 순으로 올리면 되고요. 좌회전이나 우회전할 때는 회전 전에 미리 속도를 줄이고 2단이나 3단으로 낮춰서 회전하는 게 좋아요. 4단으로 회전하면 토크가 부족해서 울컥거리거나 시동 꺼질 수 있어요. 회전 후에는 다시 가속하면서 단수를 올리면 됩니다. 오르막은 진입 전에 기어를 미리 낮춰서 힘을 확보한 상태로 올라가는 게 좋아요. 올라가면서 변속하면 속도 떨어져 시동 꺼질 수 있어요. 내리막은 브레이크만으로 감속하지 말고 3단이나 2단에 넣고 엔진브레이크를 활용하세요. 정지할 땐 브레이크 밟고 속도 줄인 뒤 클러치도 같이 밟아 멈추면 됩니다. 중립은 내리막에서 절대 넣지 마세요 브레이크만으로 제동하면 위험해요. 처음이라면 평지에서 출발-정지 반복 연습하면서 클러치 감각 익히는 게 제일 중요해요. 자신감 붙으면 회전이나 경사도 자연스럽게 익혀질 거예요. 결국 좀 지나다보면 익숙해지실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