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건강보험료 체납, 이후 직장 이직을 한 경우 체납된 불이익의 기간은???
4,5,6월 건강보험료를 직장에서 내지 않은 현재 7월부터 새 직장에서 일을 시작합니다.
7월 부터는 건강보험료를 정상적으로 납부하게 될텐데
그렇게 되면 4,5,6월의 건강보험료 미납에 대해 근로자가 피해를 볼 상황은 어떤게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Nick 변호사 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건강보험료를 6개월 이상 체납할 경우 '국민건강보험법 제53조'에 의거 그 가입자 및 피부양자에 대하여 보험급여를 실시하지 않을 수 있고, 만약, 보험급여를 받은 경우에는 이를 부당이득금으로 환수하게 됩니다.
또한, 보험료를 일정기간 이상 체납할 경우 '국민건강보험법 제77조, 제78조 및 제81조'에 의거 보건복지부장관의 체납처분승인을 받아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압류, 공매 등 체납처분절차가 진행될것입니다.
현재 회사에서 이미 급여에서 건강보험료를 공제하였으나 이를 해당 공단에 납부하지 않았다면 업무상 횡령죄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일단 사업주에게 빨리 납부해 줄 것을 요구하신 후 이를 거부한다면 업무상횡령등으로 고소가 가능할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