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잠자는 잠만보
잠자는 잠만보

은행나무는 한종만 남앗다고 하는데

은행나무 한종만 남앗다고 하는데요 은행나무 진짜 오래 존재 햇다고 하는데 지금인간이 없은면 멸종 한다고 한정도로 인간에,의해서 키워지고 퍼지는데

인간전에는 어떤 동물이 퍼트리고 햇나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도덕적인허스키128입니다.

    1문 1강 1목 1과 1속 1종만이 현존하는 식물로, 지질학상 고생대 페름기부터 자랐고, 당시 현존하던 생물종의 96%를 날려버린 페름기 대멸종을 버티고 꿋꿋하게 현대까지 살아남은 근성있는 나무다. 7속 수십 종이 있었다고 추측되고 있으나 초기 쥐라기부터 점점 줄기 시작하여서 신생대 팔레오세에 와서는 북반구에만 남았었고 플라이오세 말기에 거의 멸종해서 현재에는 동아시아에 1종만이 남아 있다. 그러니까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은행나무 한 종(Ginkgo biloba)을 제외한 문이 통째로 증발한 것이다. 문이 얼마나 큰 분류인지 감이 안 온다면 척삭동물문 생물 목록을 참고해 보자. 사실 은행나무문도 다른 종들이 많았지만 급격히 그 숫자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현재 '은행나무문'은 식물계 하위의 10여개 문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종의 수가 적다. 2번째로 종의 수가 적은 마황, 네타, 웰위치아가 속한 마황문 하위종에도 70종 정도는 남아 있고, 그 다음인 소철문의 하위종도 160개 정도는 된다는 걸 생각했을 때 단 1종만 남아 있는 경우는 경이로울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