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도의 물가와 소득의 성장성이 어떠한 흐름을 보이고 있나요?
인도의 소득 성장성이 따라오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많은데요 구체적으로 10년간 통계적으로 본다면 최근 인도의 물가와 소득의 성장성이 어떠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최근 인도의 물가와 소득의 성장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질문 중에서 특히 소득의 성장성만 보자면
인도의 연간 GDP 성장률은 2024년까지 평균 약 6.01퍼센트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펜데믹 이후에는 약 8.7퍼센트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10년간 인도의 물가는 평균적으로 연 5~6%대 인플레이션을 기록하며 꾸준히 상승해왔으나, 2024~2025년 들어 식품 가격 안정과 정책 효과로 물가 상승률이 점차 둔화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기준 인플레이션율은 3%대까지 낮아지며, 중앙은행의 목표치에 근접한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소득 측면에서는 1인당 gdp가 2015년 약 1,600달러에서 2023년 2,200달러를 넘어서는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물가 상승 속도에 비해 소득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체감 소득 개선은 더딘 편입니다. 인도 경제는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지만, 실질 구매력 개선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인도의 물가는 최근을 기준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4%미만의 상승율을 보이면서 5년내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경제 성장은 안정적인 5%이상을 예측하고 있어, 적정한 물가 상승율과 경제성장율로 안정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발표된 인도의 물가성장률을 보면 수년 전부터 하락세로 전환되어 물가는 어느 정도 안정화되고 있는데, 경제성장률 역시 과거 7~8%대를 보이는 것과 달리 최근엔 6%대까지 하락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10년간 인도의 식품이나 식료품관련한 물가상승은 몇배나 올랐습니다. 반대로 소득성장은 평균적으로 거의 횡보상황으로 거의 오르지도 않았습니다.
그말은 중산층 성장성이 그렇게 높지도 않은 상황이고 그만큼 소비시장이나 구매력이 따라오지 않고 있는 상황으로 해석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