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삶은 계란의 껍질이 잘 안벗겨지는 이유?

계란을 삶을 때 소금물과 식초를 넣어 삶으면 껍질이 잘 벗겨지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고 이제까지 이 방법을 이용하여 계란을 잘 삶았습니다.
그런데 오늘 계란을 두 곳에서 구매하여 삶아본 결과 이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대형마트 A 에서 구매한 계란은 삶은 후 껍질이 잘 벗겨졌는 데, 대형마트 B에서 구매한 계란은 껍질이 잘 벗겨지지 않습니다. 무슨 이유 때문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동일한 방법으로 삶았음에도 한 쪽은 잘 까지고 다른 한 쪽은 잘 안까졌을 경우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계란이 낳은지 얼마 안된 신선한 계란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계란의 구조를 보면 계란껍데기(난각) 아래에 두겹의 막이 있습니다.

      이 막을 난각막이라고 하는데 난각막은 외난각막과 내난각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두 막이 식는 속도 차이로 기실(Air Cell)이 형성 됩니다.

      기실은 둔단부(뭉툭한 부분) 끝에 위치하며 산란한지 얼마되지 않은 계란의 기실은 작지만 보관 기간이 길어질수록 기실의 크기 또한 증가합니다.

      그래서 기실의 크기는 계란의 신선도와도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신선한 계란일 경우 삶은 직후에는 내난각막과 외난각막이 쉽게 분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찬물에 넣어 완전히 식은 다음에 벗기거나 하루쯤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벗기는 방법을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비상한반달곰288
      비상한반달곰288

      일단 삶은 계란 껍질이 잘 안벗겨지는 이유는 산란한지 얼마 안된 계란일 것 입니다. 계란 껍질에는 수 많은 작은 구멍들이 존재 합니다. 이 구멍들로 인하여 계란안에 있던 이산화탄소는 밖으로 방출이 되고 산소 또한 계란 안으로 들어가 껍질과 흰막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 틈을 만들게 됩니다. 그때문에 산란이후 시간이 좀 지나면 껍질이 산란한지 얼마 안된 계란 보다 더 잘까지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