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바람이 어떤 원리로 불게 되나요?
바람은 기체의 이동이라고 생각이 드는데, 왜 이동하게 되는지, 그리고 왜 어떤 때는 강하고 어떤 때는 약한지, 불지 않는 날은 정말 미동도 없는데 이럴 때는 기체가 그냥 가만히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은 기압 차이에 의해서 흐른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압에는 크게 고기압과 저기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공기의 이동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쉽게 예를들면 물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르는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은 보통 저기압에 속한 공기가 따뜻해져 상승할 때 그 자리를 메우기 위해 고기압에서 상대적으로 찬바람이 불어오는데, 이 통 속의 물 위의 공기가 모래 위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계절마다 다른 계절풍의 원인은 여름과 겨울에 가열되는 온도의 차이 입니다.
여름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더 뜨겁습니다.
반대로 겨울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온도가 더 내려갑니다.
이러한 차이에 의해 기압이 다르게 형성되어 계절마다 부는 바람의 방향이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