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지금까지 군의 실전에서 레이저관련된 무기나 방어체계를 왜 도입을 못하나요?

항상 오래전부터 레이저와 관련된 무기는 연구는 많이 한것으로 아는데요

그런데 지금까지 군의 실전에서 레이저와 관련된 무기나 방어체계를 왜 도입을 못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실전을 겪을 일이 거의 없으며 해당 부분에 대한 시험을 하는 것은 다른 나라에 위협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온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실전 배치가 더딘데에는 몇가지 기술적,실용적 어려움이있습니다.

    첫째, 고출력 레이저 구현의 어려움입니다. 무기로 사용하려면 표적을 파괴할 만큼 충분히 강력한에너지를 가진 레이저를 안정적으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는 매우 복잡하고 고가의 장비를 요구하며, 아직 완벽하게 해결되지 않은 과제들이 있습니다.

    둘째, 대기 조건의 영향입니다. 레이저는 안개,비,먼지 등 대기 중의 습기나 입자에 의해 쉽게 에너지를 잃거나 왜곡될수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기어렵다는 단점이있습니다.

    셋째, 전력 공급 문제입니다. 고출력 레이저를 발사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양의 전력이 순간적으로 필요합니다.이동하면서 작전을 수행하는군용 플랫폼(항공기,함선,차량 등)에 이러한 대용량 전력 시스템을 탑재하고 운용하는것이 기술적으로 매우 도전적인 과제입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레이저 무기는 드론 요격 등 특정 용도로는 개발 및 시험 단계에있지만 기존의 미사일이나 포탄처럼 보편적인 무기로 실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하지만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레이저 무기 개발에 박차를가하고 있으며 미래에는 신속 대응 , 정밀타격, 저비용의 장점을 가진 레이저 무기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미국은 24년까지 300kW, 30년까지 MW급 출력 레이져무기 개발 예상되며

    기존 고체레이져 냉각시스템을 개선해

    소형 / 경량화 초점을 두고 150kW 급 액체침전형고체레이져 발진기에 성공을 했구요

    이스아엘 또한 이미 22년에 100kW급 출력 레이져로 박격포 요격에 성공하면서

    현재는 아이언돔을 보완하기 위해 아이언빔을 구성하여

    7 km까지 근접한 소형 미사일/ 포탄/ 드론 등을 방어 가능한 시스템이 구축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2019년 국내 최초 레이저대공무기사업이 시작되어 레이저 무기개발경쟁에 본격 투입햇으나

    한동안 수십 kW수준에 머물러있었습니다

    허나 그 사이

    방위사업청 에서 프로젝트 진행을 하며 개발을 지속한 결과

    레이저를 무기에 적용하는

    한국형 스타워즈 프로젝트 가 시작됩니다.

    방위사업청의 프로젝트 첫 사업인

    레이저 대공무기(블록-1)을 양산에 착수한다고

    11일 밝혔습니다.

    광섬유에서 생산된 레이져를

    표적에 직접 투사하여 무력화하는 방식으로

    북한의 소형드론 등을 정밀 타격하는 수준입니다.

    1회 발사 비용이 약 2천원에 불과한

    비용대비 효과가 매우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향후 출력 향상을 통한

    항공기 및 탄도미사일 등에도 대응이 가능해

    미래전장에서 진정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레이저 무기의 방어체계 실전 도입이 지연된 이유는 날씨에 따른 운용상의 제약과 개발 생산 비용이 너무 높습니다.

    이로인해 효율성이 떨어지고 고출력 리에저 발생 및 유지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열 관리 및 전력 공급의 문제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