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결한게244
고결한게24422.03.19

밤에 달무리가 생기면 정말 비가 내리나요?

어릴 때 어른들께서 달무리가 생기면 내일 비가 오겠다 라고 말씀하시곤 했습니다. 어른이 되어 아이들에게 이런 말을 했더니 왜그러냐고 물어 아무말도 못했 습니다. 과학적으로 밤에 달 무리가 생기면 진짜 비가 오나요? 무엇 때문인가요? 그리고 궁금해요 클릭 센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무리한 달 주위에 동그란 띠모양으로 보이는 것인데요

    달무리가 나타나는 이유는 주변에 빙정의 표면에 굴절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달무리가 지는것은 권층운이 있다는 거고 60~7%확률로 비가 올 수 있습니다


  • 달무리는 달빛이 대기중의 수중기 방울에 의해 굴절, 회절되어 나타나는 빛번짐 현상입니다.

    즉, 달무리가 생긴다는것은 대기중에 수증기가 다른날에 비해 많다는것을 의미하고 이는 비가 올 수 있는 조건에 가깝다는 이야기겠지요.


  • 안녕하세요.

    비가올 확률이 높을뿐입니다.

    달무리라는것은 달 주변의 빛이 번지는듯한 모습을 보이는것인데요

    이 빛을 번지게 하는 원인이 바로 구름또는 높은 습도이기때문입니다.

    비구름이 다가오면 주변의 습도는 최고조에 이르기때문에 이 습기가 가시화된 달무리를 통해 비구름을 예상하는 것 뿐입니다.

    감사합니다.


  • 달무리가 지면 비가 온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달무리는 대기 중에 떠 있는 얼음 결정에 의해 빛이 굴절, 반사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달무리는 저기압이 접근하고 권층운이 나타날 때 자주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권층운이 있고, 저기압이 접근한다는 것은 실제 비가 올 확률이 높은 기상 현상입니다.


  • 밤에 달무리가 생기는 것은 대기 중에 있는 수증기가 추워져서 구름이 형성되는 현상이며, 이러한 구름이 비가 올 확률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구름이 비로 이어지려면 구름 안에 있는 물방울이 충분한 크기로 자라고 중력에 의해 떨어져서 지표면에 도달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구름의 종류와 기상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달무리가 생긴다고 반드시 비가 올 것은 아니며, 날씨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기상 관측과 예측 기술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