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우도아빠
우도아빠

물가가 엄청나게 폭등하는 나라들의 문제

뉴스보면 아르헨티나나 이런 나라들의 물가가 엄청나게 올라서 화장지 하나 사는데도 몇십반원이 들어간다고 하는 뉴스를 봤습니다. 그런나라의 문제점은 뭐고 우리나라도 그렇게 될 가능성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이러한 국가들은 화폐를 너무 많이 찍어내는 등 하기에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이며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 국가들의 문제점은 대부분 복지 포퓰리즘 정책이나 혹은 인기를 얻기 위해서 금리를 낮추거나 화폐를 많이 발행하는 문제점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에요.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극으로 몰린다면 모르겠지만 지금의 상황에서는 이러한 국가들처럼 될 가능성은 거의 0에 수렴해요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엄청나게 폭등하는 나라들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제 불안정

      물가 폭등은 경제 불안정을 야기합니다. 물가가 오르면 국민들의 구매력이 떨어지고,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됩니다. 이는 경제 성장을 저해하고, 사회 갈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빈부격차 심화

      물가 폭등은 빈부격차를 심화시킵니다. 물가가 오르면 고소득층은 소득의 일부를 물가 상승으로 상쇄할 수 있지만, 저소득층은 소득의 대부분을 생계비로 지출해야 하기 때문에 물가 상승의 영향을 더 크게 받습니다. 이는 빈부격차를 심화시키고, 사회 갈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

      물가 폭등은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자극합니다.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높아지면, 사람들은 물가가 더 오를 것이라고 예상하고, 사재기를 하거나, 화폐의 가치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자산을 사기 시작합니다. 이는 물가 상승을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물가 폭등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저금리 기조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부양책으로 인해 통화량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또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도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물가 폭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이 필요합니다.

      • 통화량 증가를 억제

      정부는 저금리 기조를 완화하고, 가계부채 증가를 억제하여 통화량 증가를 억제해야 합니다.

      • 에너지 수급 안정화

      정부는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하여 에너지 수급 안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물가 안정 정책 강화

      정부는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가격 안정 정책을 강화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물가 폭등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물가 상승의 원인이 복합적이기 때문에 쉽지 않은 과제입니다. 우리나라 국민들도 물가 상승에 대비하여 저축을 늘리고, 소비를 줄이는 등 생활 방식을 개선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