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상어가 많이 넘어오나요? 저희나라요
저희나라에서 바다의 상어가 많이 넘어오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바다의 상어가 넘어 온다면 어떠한 방법으로 넘어오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우리나라 해역에서 상어가 종종 발견되긴 하지만, 대량으로 넘어오는 것은 아닙니다. 상어는 수온, 먹이의 이동, 그리고 해양 환경 변화에 따라 이동하며, 우리나라 해역에 들어오는 경우도 이와 같은 자연적인 이유 때문입니다. 주로 여름철에 수온이 올라가면 남쪽 해역에서 상어가 북상하는 경우가 더 많아집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상어의 경우 따뜻한 해수를 좋아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해수의 온난화로 인해 일본에서 해류를 타고 우리나라로 넘어오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한반도 연근해에 출몰하는 상어가 증가하고 있는데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사는 백상아리, 청상아리 등이 동해로 북상하는 비율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기후위기로 동해안의 수온이 오르면서 따뜻한 물을 좋아하는 일부 상어들이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근해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상어는 총 49종으로, 그 가운데 사람에게 위협적인 상어는 4~5종 정도인데요, 백상아리, 청상아리, 악상어, 청새리상어, 귀상어가 있습니다. 백상아리 등 난폭한 상어가 잇따라 출몰하자 속초시는 속초 앞바다에 그물망 설치 등 해수욕객 안전을 강화하고 있는데요속초해수욕장 600m 전 구역에 그물망을 설치해 상어 진입을 차단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한국 주변 해역에서는 주로 작은 종류의 상어들이 발견되며, 대부분의 상어는 깊은 해양에서 서식합니다. 상어가 한국 해역으로 넘어오는 경우는 드물지만 가끔 발견되기도 합니다. 주로 따뜻한 해류나 기후 변화로 인해 서식지가 이동하거나 먹이를 찾아 다른 해역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상어가 다른 해역으로 넘어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상어는 해양 생태계의 일부로서 통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고, 다른 상어는 수온이나 먹이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어획활동이나 환경 파괴로 인해 서식지가 변화하여 상어가 다른 해역으로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