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기발한무당벌레114
기발한무당벌레114

식곤증은 보통 어떨때 많이 생기게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31

뭔가 혈당스파이크와 비슷한 증상인것 같긴 한데 밥만 먹으면 피곤해지는게 생기다보니까 일할때도 불편해서 혹시나 어떤 경우에 생기게 되는건지 알고 싶어서 물어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식곤증은 식후 소화과정에서 소화기관으로 혈액이 집중되며 발생되는 증상으로 과식이나 트립토판 함량이 많은 음식의 섭취나 고탄수화물 식단이 원인이 될 수 있어 피하고 식사 후 짧은 산책을 권장합니다.

    졸음이 너무 심하다면 짧은 시간 낮잠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식곤증은 식사를 한 후에 발생하는 피로감과 졸음을 일컫는 증상으로, 주로 식사 후에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보통 우리가 음식을 섭취하면, 소화 과정에서 혈액이 소화기관으로 집중적으로 흐르게 되면서 뇌와 다른 신체 기관들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됩돼요. 이로 인해 피로감을 느끼거나 졸음이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식사 후에는 몸이 소화를 돕기 위해 에너지를 집중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활동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식곤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식곤증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바로 혈당 변화입니다. 주로 고탄수화물, 특히 단순당(설탕 등)이 많은 음식을 섭취할 때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며, 그로 인해 몸은 인슐린을 과도하게 분비하여 혈당을 낮추려 합니다. 이때 혈당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피로와 졸음을 유발할 수 있어요. 특히, 흰 빵이나 단 음료, 가공된 탄수화물 등은 혈당을 급격하게 올리고 내리기 때문에 식곤증을 유발하기 쉽습니다.

    또한, 식사 후의 대사 과정에서도 식곤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식사를 하면 위장과 소화기관이 활발히 작용하며, 그에 따라 신체가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됩니다. 특히 기름진 음식이나 무거운 음식을 섭취한 경우, 소화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리고 에너지가 집중되어 피곤함과 졸음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요.

    불규칙한 식사 습관이나 과식도 식곤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너무 많이 먹거나 자주 먹을 경우 소화기관에 부담을 주어 피로감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식사를 가볍고 규칙적으로 하며, 섬유질과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식곤증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