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기르사앙
기르사앙22.10.26

개인연금을 들려고 하는데 어떤것이 괜찮은지 잘 모르겠어요~

매달 50~100만원 납입 가능한데 괜찮은 상품 있을까요? 제가 현재 만 38세이고 만60세까지 회사생활이 가능하다고 했을때 받을수 있는 금액은 얼마나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6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금에는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개인연금이 있습니다. 퇴직연금에는 퇴직금과 IRP가, 개인연금에는 연금저축과 구개인연금, 연금보험이 있습니다. 국민연금 퇴직연금 국민연금은 종합소득세 6.6 ~ 44%를 징수합니다. 그리고 퇴직연금에는 퇴직금과, 개인이 금융기관에 가입하는 퇴직연금인 IRP가 있는데요, 퇴직금은 퇴직소득세 6.6~44%를, IRP는 연금소득세 3.3 ~ 5.5%를 부담합니다.

    개인연금에는 연금저축/구개인연금/연금보험이 있는데요, 연금저축은 연금소득세 3.3 ~ 5.5%를 부담하지만,구개인연금과 연금보험은 과세하지 않습니다.(대신 연금보험은 각 보험사가 비교적 높은 사업비를 차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펀드와 IRP상품에 대하여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두상품 합하여 연 700만원까지 납입하신다면 납입금액의

    16.5% 또는 13.2%의 세액공제 혜택도 있고 본인이 운영하는 포트폴리오에 따라서

    수령할 수 있는 금액이 달라지기 떄문에 공부를 선행하시고 가입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해당부분은 연금사에서 정확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대략적으로 20년간 매년 약 1천만원 납입시 매년 1500~2000만원정도 20년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수익률은 좋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그렇기에 가능하면 저축을 통하여 목돈을 만드신 뒤에 주택연금을 가입하시는걸 더 추천드립니다.

    부동산의 상승률이 예금이자보다는 좋을 것이며 아울러 노년에 주거문제를 해결하면서 다달이 금액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