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팩트럼 장애 증상은 최소 언제 확인가능한가요?
자폐 스팩트럼 장애 증상은 최소 언제 확인가능한가요? 이리저리 찾아보니 최소 개월은 3개월, 100일이 지나야된다는데 그 전에는 인격형성 자체가 되지 않아 찾기 힘든가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스팩트럼의 판정 시점은 만2세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자폐스펙트럼의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반성 발달 장애(자폐증)가 확실해진 시점(최소 만 2세 이상)에서 장애를 진단합니다.
-만 6세 미만에서 지적 장애 판정을 받았다면 만 6세 이상~만 12세 미만에서 재판정을 실시해야 합니다.
-수술, 치료, 의료적 조치 등으로 기능 회복이 예상되는 경우 장애 판정을 처치 후로 유보해야 합니다.
-향후 장애 정도의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반드시 재판정을 받도록 합니다.
-재판정이 필요한 경우 장애 진단을 하는 전문의는 장애 진단서에 그 시기와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합니다.
자폐성 장애의 판정을 위해서는 의료 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소아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부터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이때, 해당 전문의는 원인 질환 등에 대해 충분한 치료 후에도 장애가 고착되었음을 진단서, 소견서, 진료 기록 등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자폐를 확인하는것은 호명반응이나 눈 맞춤, 소리에 대한 반응등 전반적인 발달을 보면서 체크하는것이 좋으며
통장으로는 세돌 이후에 자폐징후들이 많이 보이며 특징을 나타내서 검사를 하곤 할수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스팩트럼 증상은 보통 18~24개월 잘 나타나는 편 입니다,
36개월 부터는 언어와 사회생활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이때 진단을 가장 많이 하는 편 입니다.
그리고 이른 시기는 아기 눈맞춤 시기는 2~3개월 부터 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태어난지 얼마든지 않을 수록 월령이 따른 아기의 발달속도 차이가 크고 시력의 차이가 있을 수 있기에 신생이 자폐증상으로 판단 하기에는 빠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전에는 발달상태를 확인하기어려움
실제 100일 돌에도 정확하게파악하기어려움
참고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의 증상은 눈 마주침이 잘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호명 반응을 해주지 않습니다
부모와 전혀 의사소통이 되지 않습니다
돌 정도에도 위와 같은 게 되지 않으면 빨리 상담을 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 스팩트럼 증상은
보통 두돌 정도에
알아챌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시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 스팩트럼은
대략 생후 18개월부터 24개월 정도에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스펙트럼 증상은 보통 2세 전에 알아차릴 수 있답니다
증상이 적은 소아들은 취학 연령이 될 때까지도 진단이 되지 않을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