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벌레들은 빛을 왜 그렇게 좋아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날씨가 더운 여름에 가로등이나

집에 스탠드 주변에 보면 날파리 벌레들이

막 빛 주위를 날고 있는 모습을 본적이 있는데요.

빛 자체에 밥이 있는것도 아니고, 벌레들이 광합성을 하는것도 아닌데

왜그렇게 빛을 좋아하는건가요??

어떤 목적이 있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생명과학 전문가 이상현입니다.

    벌레들이 빛을 좋아하는 성질을 호광성이라고도 하는데,

    빛 주변에는 열이 있어 체온을 유지하기 좋을 뿐더러

    다른 벌레들도 함께 모여들기때문에 동종을 만나 짝짓기를 하기 좋기도 하고, 포식자로써 먹이가 많은곳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는 일부 곤충들은 빛을 매개로하여 방향을 설정하여 날아다니는데,

    도시불빛에 이끌려 잘못된 방향으로 날아가 죽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 벌레가 밤에 인공 빛을 달빛으로 오인하여 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벌레 입장에서 달빛은 멀리 있어 달빛에 일정한 각을 유지하며 비행하여 방향을 잡을 수 있지만, 말씀하시는 스탠드의 빛은 너무 밝고 가까운 광원이기 때문에 곤충의 그런 감각에 따라 비행하는 것이 마치 빛으로 달려드는 형상이 되는 것이죠.

  • 벌레들이 빛으로 모이는 이유는 빛을 좋아해서라기보다는

    빛을 이용해 위치를 파악하는 특성 때문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빛으로 직진하기보다는 빛을 등지려는 배광반응 때문에

    해당 과정에서 혼란으로 인해 광원의 방향으로 들어가는 현상이 관찰되었습니다.

    주로 낮동안에 활동하는 곤충의 경우 주된 광원은 태양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상하를 구분하지만,

    밤의 인공광원은 태양의 특성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에 벌레들이 감각에 혼란을 가지게되고

    결국 빛을 향해 들어가는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 이는 빛에 대한 본능적인 반응으로 인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빛은 생물들에게 에너지를 제공하고 생존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날파리나 벌레들이 빛을 좋아하는 것은 생존에 필요한 자연스러운 행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주성이란 생물이 어떤 자극을 받고 자극에 의해 이동하는 특성인데, 그 자극이 빛이라면 이를 주광성이라고 하며 빛을 보면 달려드는 성질을 양성 주광성이라고 합니다. 나방이나 모기와 같은 벌레들은 빛을 보면 달려드는 녀석들을 양성 주광성을 가지는데, 이들이 빛에 반응하는 것은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본능에 의한 행동입니다. 주광성을 가진 벌레는 빛이 눈에 들어오면 양쪽 눈에서 언제나 같은 각도의방향으로 빛이 보이게끔 날아오르는데, 특정한 광원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비행하는 방법은 광원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점점 작아지는 동심원을 그리며 광원을 향해 맴돌아 들어가다 결국 가로등과 같은 전구에 모이는 것입니다.

  • 벌레들이 빛을 좋아하는 현상을 광주성이라고 합니다. 밤에 활동하는 곤충들이 빛을 향해 비행하는 행동을 말하며, 이 현상의 원인은 아직 완전하게 설명할 수 있게 연구된 것은 없습니다. 다만 몇가지 가설들은 존재합니다.

    그 중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설명 중 하나가 항법이론입니다. 본래 곤충들은 자연적인 빛-달빛,별빛 등-을 이용하여 항법을 한다는 것인데, 많은 곤충들이 이동방향을 결정할때 빛을 많이 활용하는데, 인공 빛이 자연적인 달빛보다 가까이에 있고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곤충들이 항법이론에 의한 빛 주변을 비행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