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후유장해보장 얼마정도 하는 게 좋을까요
상해후유장해(3-100%)는 가입금액 1억에 월 보험료가 2100원입니다.
질병후유장해도 추가하고 싶었는데 생각보다 훨씬 비싸더라구요.
1000이나 2000만원정도 가입하려는데 그정도면 의미 없나요..?
1000정도 넣어도 괜찮은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병후유장애 보험료는 상해 후유장애보다 많이 비한편입니다 보장금액이 많으면 좋겠지만 1000만원 정도라도 충분합니다 상해보다 질병후유장애를 준비하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보험료의 부담도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병후유장해는 보험료가 비싸지만 1천만 원 정도도 충분히 의미 있는 보장입니다.
중증이나 장기 후유증이 남는 경우에 큰 도움이 되니 재정 상황에 맞게 적절히 선택하시면 좋습니다.
작은 금액이라도 꾸준히 준비하는 게 중요하니 부담 없는 선에서 시작하는 게 현명하답니다.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병후유장해도 가입액이 실효성이 있을려면
최소 3천은 되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미만라면 그냥 가입 안하는거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용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병후유장해는 치매까지 보장되는 만능보험입니다.
상해와는 달리 상당히 지급률이 좋죠.
그렇기에 비싼겁니다. 젊었을때라면 1억을 가입권유하겠지만 나이가 있으시다면 너무 비싸죠. 5천도 비쌉니다. 다만 1-2천만원이라도 넣어놓으시면 적게라도 보상을 받으시니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상해3%~ 후유장해는 보험료가 저렴합니다.
하지만 질병 후유장해3%~ 은 보험료가 비쌉니다,
누구나 나이가 들고 나이가 들면 질병으로 인하여 후유장해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1천만원이든 3천만원이든 본인이 보험료 납부 능력에 따라서 가입하시면 좋은 담보는
확실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병후유장해 보장은 상해보다 실제 발생 가능성이 높고, 소득 상실에 대비하기 위해 중요한 담보입니다.
다만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높아 부담되는 경우 1천만 원 정도라도 가입해두는 것이 충분히 의미 있습니다.
재정 여건을 고려해 1~2천만 원 수준에서 선택하고, 추후 여유가 생기면 보장을 늘리는 방향으로 접근하시면 좋습니다.
지금 수준의 보장도 결코 무의미하지 않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이형석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병후유장해는 가입금액 1000만원만으로도 충분히 의미있는 금액입니다.
고도장해나 중증 후유장해 발생 시,
실손·진단비가 커버 못하는 장기생활비 부족분을 메워주는 구조라서
1,000만 원만 있어도 큰 차이 납니다.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1000이나 2000만원정도 가입하려는데 그정도면 의미 없나요..?
1000정도 넣어도 괜찮은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큰 의미는 없습니다. 질병후유장해보장의 경우 보험료가 비싸나,
질문자의 질문첢 1000만원의 가입금액의 경우에는 3% 장해시 30만원을 지급받는 것으로,
이를 받기 위해 검사비용과 후유장해 진단비용을 고려한다면 의미가 없는 가입금액입니다.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병후유장애는 주로 질병 치료 과정에서 신체 기능의 영구적인 상실 또는 저하를 유발하는 경우에 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로 뇌혈관 질환 관련이나, 척추 및 관절질병, 주요 장기절제술 및 기능 부전, 암 관련 수술인 경우에 청구를 많이 하십니다.
그렇다보니 여유가 되신다면 큰 금액을 가입하는것이 좋지만 질병후유장애는 상해와 달리 금액대가 비싸기에 2~3천 정도만 유지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병후유장애 보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후유증이 남아있다고 판단된다면 이에 기준에 따라 그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장보험이락 ㅗ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되는 내용에 대한 장해 판단의 경우 판단기준 체크리스트에 따라 기능이 영구적으로 상실되었다라는 기준이 있을때 지급이 된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빈번한 발생이 아니기에, 소액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넣어두시는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