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 과열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사교육이 많이 과열된 상황인데 어떠한 이유에서 엄마들도, 아이들도 사교육에 과열된 상황을 보이는건가요? 배움에 대한 욕구인건가요?!아니면 다른 사람들이 하니까, 그저 그 마음에서 그런건지요!!
사교육의 과열의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치열한 입시 경쟁, 공교육에 대한 불신, 학부모의 불안 심리, 조기교육과 선행학습 문화, 맞벌이 가정의 증가, 코로나19 이후 학습 격차 확대 등이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사교육의 과열의 현상이 높은 이유는
학벌주의, 물질주의와 자본주의, 공교육 불만족, 사회적 규범 등으로 인해서 입니다.
또 다른 이유를 적어보면
첫째, 대학 서열화와 대입경쟁 심화 분위기 속에서 공교육에 대한 불신 팽배
둘째, 공교육 내 맞춤형 교육의 한계
셋째, 교육정책의 홍보와 지속성 부족
넷째, 사회적 돌봄서비스 부족
다섯째, 고용불안 및 사회불평등 심화현상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 등이 이유가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앞서가려고 어떻게 든 좋은곳이나 잘하는곳에 먼저가려고 해서 그래요. 배움에 대한 욕구보다는 고학력의 욕구나 부모의 만족을 위해서 그럴수있어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현재의 좋은 고등학교에서 대학교로 그리고 취업으로 이어 지는 사회 시스템이라 그렇습니다.
이 구조로 들어가려면 사교육에 의존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남들이 다하면 어쩔 수 할 수 밖에 없는 사회적인 압력도 은근히 존재하죠.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우리 나라 즉 대한 민국은 자원이 없는 나라이기 때문에 지식을 이용 해서 기술을 높이거나 해서 수출로
먹고 살아야 하는 나라 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더 좋은 대학교에 가서 좋은 직장을 잡아야 살아가는데 편하기 때문이죠
지나친 교육열 때문에 각종 부작용이 나타 나기도 합니다
막대한 사교육비 때문에 모든 아이에게 같은 조건에 기회를 주지도 못할 뿐 아니라 사교육비 때문에
출산을 포기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학원 때문에 아이들이 저녁 시간에 휴식을 취 할수도 없고 저녁 늦게 까지 공부를 해서 삶에 질이 무척이나
떨어져 있고 삶에 대한 만족도 매우 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죠
OECD 국가 중 매우 늦은 순위에 랭크되어 있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교육 과열의 주요 원인은 한국 사회의 경쟁적 분위기와 교육에 대한 높은 기대 때문입니다. 부모들은 자녀가 좋은 대학에 진학하고 좋은 직장에 취업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사교육을 통해 경쟁력을 갖추려 합니다.
공교육에 대한 불만이 사교육 의존도를 높이고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해 주변에서 하는 것을 따라하려는 심리가 작용합니다.
이와 더불어 부모와 아이 모두 학업 성취에 대한 심리적 압박을 느끼며 사교육이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교육의 주된 원인은 우리나라의 서열식 입시제도 때문으로 보입니다. 때문에 자신의 적성보다는 점수를 높게 받아야 하는 교육열 때문에 사교육이 과열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교육 과열은 단순히 더 배우고 싶어서만으로 설명되기 어려운 복합적 사회현상입니다. 아이와 부모 모두가 원해서 뛰어든다기보다, 벗어날수 없는 구조에 말려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입시경쟁중심의 사회구조, 상대적 박탈감과 불안감(남들 다 하니까), 정보 불균형과 부모들의 경쟁심리, 학교교육에 대한 불신 등의 이유로 그렇습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사교육은 크게 두 가지 트랙으로 나뉩니다.
돌봄의 목적 : 유아기 ~ 초등학교 저학년, 중학년 시기에는 아이를 돌보는 인력이나 시간 등이 녹록치 않아서 돌봄을 겸할 수 있는 태권도, 피아노 등의 학원이나 공부방을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입시의 목적 : 대치동 등 학구열이 심한 곳에서는 어린 나이부터 대학 진학, 의대반 등을 이유로 학원에 다니기도 합니다. 다만, 보통은 초등 고학년, 중학교, 심하게는 고등학교 시기 이후에 시작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사교육을 하는 이유가 저마다 다릅니다만, 흔히 다른 아이들도 하니까 우리 아이도 해야 한다는 생각은 입시 목적에서 많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