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넷? 토큰? 랩드코인? 헷갈리네요.
월렛에서 코인을 입출금할때 ERC-20, TRC-20, BEP-20, OMNI 등등 이렇게 메인넷을 선택하는 것은 이해가 갑니다. 그런데 궁금한 것은 예를 들어 A라는 코인이 ERC 20 토큰일 경우 다른 메인넷을 기반으로 중복해서 발행이 가능한가요?
그럼 이 경우 이 코인은 정확히 따지면 랩드코인이라고 봐야하는 건가요? 기존 블록체인이 아닌 타 블록체인으로 만드는 코인은 랩드코인이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그리고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트론처럼 메인넷을 가진 코인들은 뭐가 있고 또 코인의 메인넷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거래소에 문의하는 것 말고 없나요?
1. 랩드코인과 페깅되어 발행되는 코인의 차이점
2. 메인넷을 가진 코인의 종류와 확인방법
3.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메인넷확인이 전혀필요없는지? (랩드코인으로 발행된 경우 제외)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 메인넷 코인에 대해 질문하셨는데요, - 1. 랩드코인과 페깅되어 발행되는 코인의 차이점 - : 먼저, 메인넷과 일반 토큰의 차이는 독립적인 네트워크의 차이입니다.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운영되는 것이 메인넷 코인이며, 타 메인넷 코인의 네트워크를 빌려 사용하는 것을 토큰이라고 합니다. 떄문에 토큰의 경우에도 충분히 추후에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다면, 토큰에서 메인넷 코인으로 발행이 가능하며, 이에 기존 토큰을 유지하거나 스왑하여 메인네 코인으로 변동이 가능합니다. - 2. 메인넷을 가진 코인의 종류와 확인방법 - : 메인넷 코인의 경우에는 해당 암호화폐의 정보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이더스캔과 같은 해당 네트워크 조회가 가능한 곳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3.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메인넷확인이 전혀필요없는지? (랩드코인으로 발행된 경우 제외) -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대표적인 메인넷 코인으로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비트코인, 이더리움 기반의 토큰 발행이 가능합니다. - 질문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토큰의 경우 메인넷이 없기 때문에 이더리움 같은 플랫폼 위에서 동작한다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 그렇다보니 수수료를 토큰으로 지불하는 것이 아닌 사용하는 플랫폼의 화폐로 지불합니다. - ERC-20 토큰을 다른곳으로 보내고 싶다면 이더리움을 수수료로 내야합니다. - 이런 부분에서 코인과 토큰 종류를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