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충격으로 제조업 전망이 흔들리는데 무역에 미칠 영향은 어떨까요??
최근 자동차 철강 제약 업종의 경기 전망이 관세 여파로 하락세라는데 이 상황이 단기적 충격에 그칠지, 아니면 우리나라 수출 구조에 장기적 리스크가 될지 의견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 충격이 제조업 전망을 흔들면 무역 흐름에도 파장이 큽니다. 자동차나 철강은 수출 비중이 높아서 관세가 붙으면 단순히 가격 경쟁력 약화가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위치까지 흔들립니다. 제약은 규제와 인증 절차가 겹쳐 관세 부담이 장기적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기업들이 환율이나 현지 생산으로 대응하겠지만 관세가 구조적으로 이어지면 우리나라 수출 모델이 조정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특정 시장 의존도가 큰 업종일수록 타격이 깊고 시장 다변화가 늦으면 장기 리스크로 남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장기적 리스크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는 사재기 수요 등으로 관세충격의 여파가 번지지 않은 상황입니다만, 이에 대하여 장기화되는 경우에는 업계들에 불황이 찾아올 수 밖에 없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업들은 각자도생을 하여야될 것이며 관세가 보편화되기 전까지는 이러한 매출이 쉽게 회복되지 않을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최근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라 자동차, 철강 등은 더 큰 충격을 받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상호관세인 15%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영향은 단기적인 상황을 넘어 대미 수출에 장기적인 부담과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는데, 일단 자동차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협상절차를 통해 더 낮은 관세를 부과받을 수 있도록 정부의 협상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