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마티스
마티스

국내 주식에 상한가 하한가 존재는 왜 생긴건가요

국내 주식에서 상한가 하한가 30프로 이거 왜 생긴건가요

오히려 저러한 조치로 인하여 국내 주식 시장의 성장이 멈춘거 아닌가요?

언제쯤 사라지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급격한 시장충격에서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 입니다

    • 미국의 경우는 이 제도가 없지만 그만큼 자본 총량이 크기 때문에

      자산 시장에 큰 충격까지 주진 않습니다.

    • 그러나 우리나라는 혹시나 짧은 시간에 완전한 깡통을 찰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한가와 하한가 제한은 주가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한 충격과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이며, 가만 가격제한으로 인해 매매의 지연이나 시세조종 가능성이 있어 시장의 성장에 제약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한가 하한가 제도는 원래 시장이 갑자기 요동치지 않게 속도 조절하려고 만든 안전장치에 가깝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이걸 덕분에 급등락으로 인한 패닉 매매가 어느 정도 줄어든다고도 합니다. 그런데 또 업계에서는 이런 제도가 해외 시장과 비교하면 자본 유입을 막는 장벽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고 합니다. 제 생각에는 단순히 성장 발목을 잡는다기보다 안정과 효율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시도에 가깝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주식 시장에서 상한, 하한가 존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국내 주식 시장에서 상한가와 하한가를 만든 것은

    시장을 보호하고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급등락으로 인한 시장혼란을 막기위해 상,하한가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30%제한은 투자자 보호 목적이지만 성장 제약으로 지적되기도 합니다.

    당분간 폐지보다는 점진적 완화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있는 가격제한폭 제도는 주식시장에서 개별 종목의 하루 가격 변동이 일정 범위(현재 ±30%)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도로, 주가 급변에 따른 시장의 충격을 완화하고 투자자 보호를 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제외한 상당수 국가에서 일 제한폭은 두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 특히 소액투자자 보호 차원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