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운좋은기린117
운좋은기린117

헬리코박터 항생제로 인한 신기능의 영향

성별
남성
나이대
46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2주간 제균치료 후 혈압이 상승했습니다.

가정용으로 꾸준히 관리해오는데

110-70이던 혈압이 125-85로 꾸준히 나오네요.

신장기능중 하나가 혈압조절이고 항생제가 신장독성을 일으끼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항생제가 영향을 미쳐 신기능으로 인한 혈압상승을 야기시켰을까요?

관련된 고견을 듣고싶습니다.

복용전 CR수치는 0.9였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우선은 단순 2주간의 제균치료만으로 신기능의 악화를 의심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만일 그렇다고 한다면 혈압 관련보다는 배뇨장애 등의 증상이 우선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올려주신 혈압 자체도 정상 범주에 해당하는 혈압으로 이는 약제의 부작용보다도 몸의 전반적인 컨디션의 차이만으로도 편차가 생길 수 있는 정도로 보이므로 정상 범주 내에서의 혈압 상승 이외에 특별한 추가 증상이 없다면 크레아틴 수치도 크게 문제가 없으므로 경과관찰 하셔도 무방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위궤양 치료를 위해 2주간 제균요법을 하신 후 혈압이 상승했다는 말씀이시죠. 질문자분 걱정이 많으실 것 같아요.

      일반적으로 항생제가 신장에 부담을 줄 수는 있지만, 건강한 신장이라면 항생제로 인한 혈압 상승은 흔하지 않아요. 특히 질문자분의 치료 전 크레아티닌 수치가 0.9로 정상 범위였다면 더욱 그렇죠.

      다만 위궤양 자체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어요. 제균치료로 인한 위장관 증상, 약제 부작용 등도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고요. 스트레스는 교감신경을 자극해 혈압을 높이는 원인이 되곤 해요.

      또한 혈압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어요. 염분 섭취량, 수면의 질, 운동량 등 생활습관의 변화가 있었는지 돌아보시면 좋겠어요.

      현재 125-85 수준이라면 고혈압이라 진단내리긴 어려워요. 하지만 꾸준히 상승 추세라면 주의가 필요할 것 같네요. 정기적으로 병원에서 혈압을 체크하시고 신장 기능 검사도 해보시면 좋겠어요.

      불안감이 크시다면 내과 선생님께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추천드려요. 생활 습관 교정과 스트레스 관리로 혈압을 낮추는 방법에 대해 도움받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