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고려 시대 때 해전을 담당하는 수군이 창설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고려 시대에 해전을 준비할 만큼 견제되는 해양세력이 있었나요?

해전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수군이 고려 시대 때 처음 만들어졌다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군은 여말 , 선초의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정비, 강화되며 고려 말 왜구는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에 침입해 약탈, 살인, 조운의 불통을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고려 공민왕 때부터 왜구에 대한 적극적인 방어대책을 강구해 양광도와 전라도에 안무사를 파견, 우왕 때 전함을 건조, 공양왕 3년 3정을 1호로 삼고 수군 1인을 충정케 합니다. 이를 가리켜 번계 류형원은 아동주사지설시차라고 하여 조선조 수군의 재건을 이때로 간주합니다.

      수군은 고려말 공민왕 말엽부터 왜구에 대한 방비책으로 선군을 확보하고 전함을 건조하면서 만호, 천호 중심의 수군체제를 갖추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의 태조 왕건은 백선장군으로 해군대장이라는 칭호를 받았는데, 수군을 통해 삼국 통일을 견인했습니다. 뿐만 아리나, 고려시대에는 동아지중해 전 지역에서 고려인들이 정치·군사·경제·문화적으로 해양활동을 활발하게 했습니다. 이에 따라 수군을 정책적으로 양성하여 국가를 발전시키고 위기를 극복하는 인적자원으로 활용했습니다. 고려의 수군은 본격적인 해전을 벌였고, 해양방어체제를 보조하는 역할을 겸했으며, 사신선이나 무역선이 바다를 항해할 때 보호하는 역할도 겸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가 수군을 만든 이유는 왜적 때문 입니다. 1350년대부터 왜구는 대규모로 고려를 침입하기 시작했고, 고려의 수군은 그들과 대치할 수 없었습니다. 이에 고려 정부는 왜구를 막기 위해 수군을 강화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기존의 전투 방식은 군인과 배의 수를 더 많이 요구했기 때문에 국가의 능력을 초과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