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안추운데 우박은 왜 떨어질까요?
요 몇일 전에 서울에 엄청 큰 우박이 떨어졌습니다.날씨가 춥지도 않은데 우박은 왜 떨어지는 걸까요?우박으로 차같은게 파손되면 보험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이 생기는 결정적인 이유는 강한 상승기류가 원인입니다. 얼음조각이 떨어져야 할 무게에도 상승해 수증기와 결합해 얼음덩이가 점점 커져 우박이 생기는 거죠
여름철에도 구름위는 춥기때문에 우박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안에서는 상승 기류가 강해져서 물방울이 얼음 결정 주위에 형성되어 성장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얼음 결정은 계속 성장하여 큰 빙정이나 얼음 조각으로 형성됩니다. 이 얼음 조각들은 구름 안에서 오르락내리락 하다가 충돌하거나, 충돌하는 다른 얼음 조각들과 결합하여 우박을 형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드믈긴하지만 여름철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날씨가 추운 것과는 독립적으로 우박은 형성되고 떨어질 수 있습니다. 우박은 일반적으로 대기 상의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됩니다. 일반적으로, 대기 상에서 높은 고도에서는 온도가 낮고, 고체 혹은 액체의 상태로 존재하는 수분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만들어지는 높은 하늘은 기온이 매우 낮기 때문에 공기 중에 빙정이라는 아주 작은 얼음 결정이 떠다닌다. 이 얼음 결정은 근처의 수증기또는 과냉각 물방울을 흡수하면서 점점 크기가 커지는데,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이들은 자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지상으로 떨어지게 된다. 평소대로라면 이 얼음 조각은 매우 작으므로 떨어지면서 녹아 비가 되는데, 지상의 기온이 낮아 미처 녹지 못하면 눈이 된다. 애매한 경우 진눈깨비가 된다.
문제는 이 얼음 결정이 강한 상승기류를 만났을 때이다. 이 경우 이 얼음 결정은 떨어지다 말고 상승기류에 떠밀려 올라가서 계속 수증기를 흡수하며 점점 더 굵어진다. 하지만 얼음 조각이 계속 몸집을 불려 나가면 나중에는 떨어지는 법이다. 그러다 상승기류가 약해지거나 상승기류로도 더 이상 올릴 수 없을 정도로 무거워지면 그제서야 이 얼음 덩어리는 녹지도 않고 지상으로 덩어리째 떨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우박이다.
한 마디로 말해, 땅으로 내려가야 할 얼음조각이 내려가지 않고 상승기류를 타고 공중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며 뻗대다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어 생긴 얼음덩어리가 바로 우박인 것이다. 실제로 우박을 반으로 잘라보면 불투명한 핵을 중심으로 투명한 얼음층과 불투명한 얼음층이 교대로 나타나서 마치 자른 나무의 나이테와 비슷한 무늬를 이루는 것이 보이는데 이것은 곧 우박이 공중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크기를 키우는 특성에서 기인한다. 그 오르락내리락하는 과정에서 우박끼리 서로 충돌하기도 하고 엉겨붙기도 하는데, 결과적으로 이런 우박들은 비정형적이고 울퉁불퉁한 아메바 같은 모양을 띠게 된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내부의 빙정이 주변의 얼음과 수분을 흡수하며 눈이 만들어지고, 충분히 무거워져 상승기류를 이기고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만일 이대로 지상까지 내려오면 눈이 되고 중간에 녹으면 비가 됩니다.
하지만 우박은 조금 다른데요, 대기가 불안정하여 구름 일부 영역에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며 강한 상승기류가 있는 곳으로 떨어진 눈이나 빗방울은 다시 상층으로 상승하며 얼어버리고 얼어버린 물방울 표면에 추가로 수증기가 얼어 들러붙게 됩니다. 그리고 상승기류를 이겨낼 정도로 충분히 성장하고 무거워지면 하강하기 시작하는데, 그대로 낙하한다면 작은 우박이 되지만 다시 상승기류를 타면 더욱 크게 성장하여 대형 우박이 되어 떨어지게 됩니다.
떨어지는 우박의 속도와 대기의 온도에 따라 우박이 비가 되기도 하지만, 상승기류를 이길 정도로 무거워진 우박이 한번에 녹는 것은 왠만한 불볕더위로는 힘이 들기 때문에 우박으로 떨어지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구름에서 낙하하던 비가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 상승과하강을 반복하다 일정크기 이상의 얼음덩어리가 되어 무거워지면 떨어지는 겁니다 그래서 춥지않아도 상승기류가 생성되면우박이 내릴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안추워도 우박은 됩니다.
우박은 일반적으로 봄이나 여름철에 발생하는 날씨 현상으로, 추운 날씨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우박은 대형의 얼음 입자로 구성되며, 비구름 안에서 상승 기류의 영향으로 상층으로 올라갑니다. 상층에서는 영하 온도로 인해 비구름 안의 수증기가 응고하여 얼음 결정이 형성됩니다. 이 얼음 결정은 수증기와 물 방울이 충돌하면서 성장하고, 마침내 충분히 커져서 구름에서 떨어져 우박으로 내립니다. 따라서 추운 날씨와는 관계 없이 우박은 얼음 결정이 형성되고 충돌하여 형성되는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