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자린고비56379
자린고비5637922.12.07

한 겨울에 입김이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추운 날씨에 입김을 불면 김이 나오는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입 안의 온도와 바깥의 온도 차이가 나서 입김이 나오는건 알겠는데 과학적인 원리를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체내에서 불순물을 기체상태로 날숨에 포함하여 배출합니다.

    이 때 상당 양의 수분도 포함되어 있는데요 이 기체에 포함된 불순물 및 물이 외부 공기를 만나며 순간적으로 얼어버리는 것이 입김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입에서는 호흡을 할 떄 항상 수증기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이 수증기가 겨울철에는 낮은 온도로 액체(물)이 되어 눈에 보여져 이것이 입김처럼 보이는 것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입김을 불면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수증기들이 존재합니다. 이 수증기들이 외부의 찬공기에 의해 열에너지를 빼앗기게 되고 액체상태가 되어 하얗게 눈에 보이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입에서 나오는 공기는 따뜻한 공기입니다. 이 공기가 밖의 공기를 만나면 온도가 급격히 변해서 입에서 나온 공기 수증기가 급격히 응결되어 입김이 서린다 하는겁니다. 즉 공기가 미세하게 응결하는거죠.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입김은 추운 곳에서만 나온다고 생각되지만[1], 충분히 습한 곳에서는 비교적 온도가 높아도 입김이 나올 수 있다. 대표적으로 장마와 같이 기온은 비교적 높은데 습도도 엄청 높을 때다. 궁금하다면 습식 사우나에 들어가서 입김을 불어 보자. 입 앞의 김이 입의 공기로 갈라지는 게 아니라 입에서 새로운 김이 공급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안녕하세요.

    입김이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온도차이에 따른 응결입니다.

    입김은 입에서 나오는 더운 김으로, 인간이 호흡을 할 경우 내뱉는 공기에 수증기가 일부 포함됩니다.

    이러한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와 만나면, 순간적으로 응결되며 흰 연기를 볼 수 있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