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겨울은 왜 여름보다 많이 건조한거죠?

안녕하세요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에 건조해지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날씨가 건조하다보니 정

전기 같은것도 많이 생기는것 같고, 실내어서

는 가습기를 켜야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는 온도가 높아질 수록 공기분자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밀도가 낮아집니다. 밀도가 낮아지면 수분이 끼어들 공간이 많이 생기게 되므로 여름에는 공기중의 습도가 높습니다. 반대로 겨울에는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고 공기 분자간의 거리가 좁혀지면서 밀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수분이 끼어 들어갈 공간이 줄어들어서 건조하고 차가운 공기가 됩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실내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건강에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게되면 포화수증기량이 낮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겨울철이 건조해지게 되는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이 건조한 원인은 우리나라 기단과 포화수증기량 때문입니다. 기단은 거대한 공기 덩어리로 계절에 따라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이 달라집니다.

      우리나라는 여름에 북태평양기단의 영향을 아서 매우 습합니다.

      그러나 겨울은 시베리아기단의 영향을 받아서 건조하고 찬바람이 부는 것입니다

    • 여름에는 중위도 지방에 태양열을 많이 받게 되어 북태평양에서 발달한 습기가 많고 더운 고기압이 북상하게 되어 고온다습한 환경이 만들어지고,

      겨울에는 중위도 지방이 태양열을 받는 양과 시간이 적어 차갑고 건조한 북서쪽에서 발달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런이유로 겨울에는 건조한 환경이 만들어지고, 여름에서 습한 환경이 만들어 집니다.

    • 목마른날쥐126
      목마른날쥐126

      안녕하세요. 박태술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건.습의 정도는 포화수증기압으로 설명 될 수 있으나 여름철 기온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기온이 낮은 겨을철에 비해 습도가 높은 이유는 기단의 영향 때문입니다. 여름철은 고온다습한 북태평양기단의 영향이 크고 겨울철은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대체로 여름철 보다 겨울철의 대기가 더 건조합니다.

    • 겨울이 건조한 이유는 날씨가 춥기 때문입니다.

      공기에 포함된 습도는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온도가 높으면 공기 속에 수증기가 많이 포함될 수 있고,

      온도가 낮으면 수증기가 얼기 때문에 공기 속에 많이 없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겨울에 건조한 기후가 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