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드럽게 말하면 아이가 말을 잘 듣는걸까요
뭔가 요새 아이에게 자주 “하지 마” “그만해” 이런 말을 반복하게 되는데 점점 아이가 더 반항적이 되는 것 같아서 걱정이에요. 부모로서 아이에게 어떻게 말하는 게 더 효과적일지 고민 중인데요. 부드럽게 말하면 아이가 잘 받아들이고 고쳐지는 걸까요? 아니면 좀 더 단호하게 말을 해야 할까요? 어떻게해야할까요?
훈육의 방법 중에서 훈육할 때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보면 훈육이 감정에 치우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어떻게 말을 해야 더 효과적으로 훈육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은 많은 부모들이 겪는 문제입니다. “하지 마”, “그만해”와 같은 부정적인 명령형 문장이 반복되면 아이가 반항하거나 무시하는 태도를 보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훈육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에게 어떻게 말하느냐가 아니라 아이의 행동을 어떻게 이해하고, 적절히 반응하느냐입니다. 부드럽게 말하는 것과 단호하게 말하는 것, 두 가지 접근을 잘 결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아이에게 효과적으로 훈육을 하기 위해서는 부드러운 태도와 단호한 태도의 균형이 중요합니다. 부드럽게 공감하고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는 동시에, 중요한 규칙과 행동에 대해서는 일관되게 단호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또한, 긍정적인 언어와 행동을 유도하며 아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는 부모의 일관된 태도와 규칙을 통해 점차 바람직한 행동을 배우게 됩니다. 아이에게 훈육을 하시는 말투로 말씀을하실 때에는, 바로 이러한 점을 주의깊게 생각해보시기 바래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에게 자주 "하지마", "그만해" 라고 말을 반복하게 되는 배경은
아이가 똑같은 실수를 반복적으로 하기 때문 일 것입니다.
아이가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이유는 자신의 잘못에 대한 부분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서 입니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다면 아이의 모든 행동을 stop 시키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서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지금 한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았는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의 행동이 한 번의 훈육으로 나아지지 않기 때문에 매일 밥상머리교육 시간을 통해서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짚어주고 왜 이러한 행동을 하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며 아이의 잘못된 행동의 대한 습관을 지도하고 개선 시켜 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효과적으로 말하려면 긍정적인 언어사용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그만해"보다는 "이렇게 해볼까?" 또는
"이건 위험하니까 이렇게 하는 게 좋겠어"와 같이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대안을 제시해주세요 또한 규칙을 설명할 때 이유를 함께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 이해하면 스스로 자발적으로 규칙을 따를 가능성이 커집니다
또한 일관성과 꾸준함이 필요합니다 부모가 일관되게 규칙을 적용하고 아이가 이를 따를 때 칭찬을 해주면
아이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해서 원하는 행동을 더 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단호하게 말할 때는 그말이 아이에게 위협적으로 들리지않도록 차분하고 신뢰를 줄 수 있는 목소리로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네 부드럽게 이야기할때 주의할점이 아이 감정을 인정해주시고 아이를 이해하며 공감해주셔야 효과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