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우리나라에 방화문에 대한 역사가 궁금해요

뉴스를 보다 보니 서울 도봉구 아파트 화재사고로 안타까운 사연들이 방송이 되는데 방화문을 계속 열어둬서 피해가 더 커졌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 방화문은 언제 처음 도입되었는지 어떻게 도입되었는지 역사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는 2004년 5월에서야 11층 이상 공동주택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와 방화문을 설치하도록 규정이 강화되었다고 합니다.

      화재가 난 도봉구 아파트도 1997년 준공돼 16층 이하 가구에는 스프링클러가 달려 있지 않고, 계단 방화문도 없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갑종방화문과 을종 방화문으로 구분하였습니다. 그러나 건축법 시행령 64조가 2020년에 개정되었고 이제는 그 구별법은 사라졌습니다. 방화문의 종류는 1.60분 플러스(60이상 열차단 시간 30분) 2.60분 방화문(60분 이상) 3.30분 방화문(30분 이상 60분 미만) 방화문은 종류에 따라 화재에 버티는 시간이 다릅니다. 방화문은 특수 제작되어서 일반문과 달리 불에 견딜 수 있습니다. 연기와 불이 침입해오는 것을 일정 시간 동안 막아 주기때문에 119를 기다리는 시간을 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