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과 발행어음에 대해 질문합니다.
채권과 발행어음같은 상품은 잘 모르지만 위험한 상품인가요? 채권을 몇천만원을 샀을 시 원금 손실이 크게 날수 있을까요? 발행어음도 똑같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은 발행 주체(국가, 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위험도가 천차만별입니다. 국채는 안전하지만 회사채는 기업 부도 시 원금 손실 위험이 큽니다. 발행어음은 증권사 신용으로 발행되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나 발행 증권사가 망하면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두 상품 모두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므로 발행 기관의 신용 등급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채권과 발행어음은 위험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위험도만 따지면 발행어음이 더 위험합니다.
채권도 회사채는 어느 정도 리스크가 있지만
국채는 사실 리스크가 없다고 봐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은 금리 상승기에 시세가 떨어질 수 있으나 만기 보유 시 원금 손실 위험은 매우 낮습니다.
발행어음은 은행이 발행하는 단기채권으로 원금손실 가능성은 제한적이며 안전자산에 가깝습니다.
고위험 상품이 아니라 단기 유동성 운용에 적합한 안정형 투자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은 정부나 기업이 자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증서로, 비교적 안전한 편이지만 신용등급이 낮거나 금리 변동에 따라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발행어음은 증권사가 내는 단기 금융상품으로, 예금자 보호는 없지만 대형 증권사가 발행해 신용도가 높아 원금 손실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과 발행어음은 모두 투자 상품이지만 원금 손실 위험이 있어요.
채권은 발행 주체(국가, 회사)의 신용도가 가장 중요해요. 신용도가 낮은 회사의 채권에 수천만 원을 투자하면 부도 시 원금 손실이 크게 날 수 있습니다.
다만, 국채나 우량 회사채는 비교적 안전합니다. 채권은 시장 금리가 오르면 가격이 떨어져 만기 전에 팔 경우 손해 볼 수 있는 금리 위험도 있어요.
발행어음은 자기자본 4조 원 이상의 대형 증권사가 발행하는 상품이고, 이 증권사의 신용에 따라 안전성이 결정됩니다. 발행 증권사가 부도 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대형사라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두 상품 모두 예금자 보호는 안 되므로, 발행 주체의 신용을 꼭 확인하고 투자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채권과 발행어음은 원금에 대한 상환을 약속하는 것이지만, 기한 및 이자의 측면에서 다릅니다. 발행어음은 보통 이자가 없으며, 채권은 이자가 있습니다. 그리고 채권은 이자를 지급하기에 장기간의 상품도 존재하지만, 발행어음의 경우에는 보통 1년이내가 대부분입니다. 원금손실의 경우 둘다 가능성이 낮은 상품이지만 부도가 나는 경우에는 원금의 전체를 잃을 수도 있기에 신용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도 어떤 채권이냐에 따라 다릅니다
채권의 발행주체가 국가냐 공기업이냐 민간회사냐에 따라
국채 국공채 회사채 하이일드채 이렇게 있습니다
한국국채나 에이에이등급채권은 거의 위험이 없는 안전자산으로 분류됩니다 다만 금리상승기에는 채권가격이 낮아지는것처럼
금리변동에 따른 위험은 있을수있습니다
발행어음은 증권사가 발행합니다
발행어음의 위험은 하나입니다 바로 증권사가 부도나는것이지요
부도시 예금자보호도없어 만약 부도가 나면 한푼도 못받습니다
또 발행어음은 채권과 다르게 금리변동 위험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과 발행어음은 상대적으로 주식에 비해 위험도가 낮은 편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원금 손실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채권 중에서는 '원금 보장'이 명시된 경우 발행 기관이 파산하지 않는 한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지만, '원금 보존 추구형' 상품은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발행어음은 증권사 같은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단기 금융 상품으로 보통 원금 보존을 목표로 하지만, 발행 기관의 파산 위험이 있거나 시장 상황이 악화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예금자 보호 대상도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