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만리경
만리경23.11.18

주어진 시간의 흐름이 사람마다 다른 것은 뇌의 인식과 관련 있나요?

사람에게 주어진 하루는 24으로 동일 한데 이것이 사람마다 또 나이대에 따라 흐름의 속도가 다르게 느껴지는 것은 뇌의 인식의 문제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8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뇌에 특정화학물질 농도 및 평소감정 사고방식 생활태도 생활양식 등에 따라 사람이 체감하는 시간은 너무나도 달라집니다.

    사람이 즐거운것을 하면 시간이 매우 빨리 지나가 안타까워하고

    지루하고 하는게 없으면 하루가 너무 길기도 합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 수록 사람은 무뎌져서 시간이 지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시간이 금방금방 가버립니다.

    그리고 수술할때 전신 마취를 하면 수술을 12시간을 해도 1초만에 잤다가 일어난 느낌을 느꼈다는 환자들 처럼

    뇌가 마비되면 시간이 갑자기 증발해 버리기도 합니다.

    뇌의 각종 작용은 아직도 규명하는데 몇 백년이 걸릴 정도록 뇌는 복잡하고 다양한 화학반응이 일어남으로

    아직 완벽히 설명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주어진 시간의 흐름이 사람마다 다르게 느껴지는 것과 뇌의 인식은 관련이 있습니다. 인간의 뇌는 시간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복잡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뇌의 기능으로 인해 우리는 시간의 경과를 체감하고 인식합니다.

    뇌는 다양한 신경 신호와 정보를 처리하여 시간을 추정하는 내부 시계를 형성합니다. 이 내부 시계는 외부 자극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우리 주변의 사건이나 경험을 통해 시간의 경과를 인지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내부 시계는 개인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인간의 뇌는 주의력, 감정, 체감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시간의 인식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즐거운 활동을 하고 있을 때는 시간이 빨리 지나가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고, 지루한 상황에서는 시간이 더디게 흐르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