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따뜻한원앙279
따뜻한원앙279

인간이 곤충을 먹지 않게 진화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인간은 곤충을 보면 일단 혐오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그걸 먹으라고 하면

절대로 못먹겠다는 사람들이 아마 99%일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동물들은 곤충을 잘 잡아먹지만 왜 인간은 곤충을 먹지 않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인간이 곤충을 먹지 않게 된 이유는 단순히 진화적으로 불가능하다라기보다는, 생태적, 문화적,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우선 초기 인류의 조상들은 아프리카 사바나와 같은 환경에서 살았고, 실제로 곤충도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었을 가능성이 크며, 지금도 많은 원주민 사회에서는 곤충을 주요 식량으로 활용합니다. 그러나 인류가 불을 사용하고, 도구를 발달시키며, 큰 동물이나 식물성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자 곤충은 주식에서 밀려난 것입니다. 또한 곤충은 개체별로 얻을 수 있는 열량이 적고, 채집에 많은 노동력이 필요한데요 반면 큰 포유류나 어류, 곡물의 재배가 가능해지면서 더 적은 노력으로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었기에 곤충은 점차 부차적인 식량이 되었습니다.

    물론 인류 전체가 곤충을 기피하는 것은 아닌데요,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수많은 문화권에서는 지금도 곤충을 즐겨 먹습니다. 곤충은 못 먹겠다라는 감정은 전 세계 보편이 아니라, 근대 서구 문화에서 형성된 가치관이 전파된 결과이기도 합니다. 이와 함께 곤충은 작은 크기 때문에 부패, 세균, 기생충과 연결되기 쉬운데요, 인간의 두뇌는 조금이라도 위험할 수 있는 음식을 자동으로 배제하는 방향으로 진화했기 때문에 따라서 곤충은 다른 음식보다 쉽게 불결하다는 인상을 주게 되어 기피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인간이 곤충을 주식으로 삼지 않게 된 것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 때문입니다. 초기 인류는 곤충을 식량 자원으로 활용했으나, 농경 사회로 진입하며 대규모로 재배할 수 있는 곡물이나 가축을 통해 더 효율적으로 영양을 얻게 되면서 곤충의 중요도가 낮아졌습니다. 또한, 곤충에 대한 혐오감은 위생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곤충이 질병을 옮기거나 오염된 환경에 서식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이를 피하려는 진화적 경향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문화적 금기를 넘어 생존을 위한 본능적인 회피 반응으로 자리 잡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인간이 본능적으로 곤충을 기피한다고 볼수는없고

    오랜과거부터 아프리카나 아시아, 남미등에서는 곤충을 오랫동안 먹어왔습니다.

    다만 농업이 발달하고 곡물이나 가축같은 대체자원이 풍부해지면서

    곤충을 잘 먹지않게되고 문화적으로 위생적인 혐오현상이 강해지며 먹을수없는

    대상으로 변해왔습니다.

    감사합니다.

  •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생존을 위해서입니다.

    과거에는 어떤 곤충이 독성 물질을 가졌는지 알기 어려웠기 때문에 위험을 피하는 본능이 작용했습니다. 특히 농업과 가축 사육이 발달하면서 곤충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식량을 얻을 수 있게 되었죠.

    결론적으로 굳이 곤충을 먹지 않아도 대체할 수 있는 식량이 생기면서, 위험을 감수하거나 비효율적인 수고를 할 필요가 없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