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자꾸 주변의 눈치를 보게 된다면 어떤 교육을 해주는게 좋나요?
저희 아이가 다른 사람들 눈치를 보는 습관이 있습니다. 아이에게 그동안 제가 너무 무섭고 엄하게 대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반성을 했는데요ㅠㅠ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며 훈육을 하거나, 화를 내면 훈육을 하는 편은 아닌것 같은데..이것 또한 저 혼자만의 생각인지, 어떻게 해야 될까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눈치보는 아이로 인해서 걱정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혹시나 평상시에 아이에게 잔소리를 심하게 많이 하시거나 훈육하실 때 매우 무섭게 대하시진 않았는지요.
아이가 이유 없이 눈치를 보지는 않을 겁니다. 분명히 마음속 어딘가에 상처가 크게 자리 잡고 있을 것입니다. 최우선적으로 하셔야 할 것은 아이와의 진심 어린 대화를 통해서 아이의 마음에 어떤 상처를 가지고 있고 무슨 부분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는지를 명확히 파악하셔야 합니다.그리고 그 부분을 부모님들께서 사과하실 게 있다면 사과하시고, 앞으로 어떻게 하실지에 대해서 아이에게 명쾌하게 약속을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대로 가정에서 생활을 해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가 엇나가지 않고 부모님과 관계를 올바르게 유지하며 바르게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앞으로는 아이가 작은 것이라도 잘한 행동이 있거나 긍정적인 발전이 보인다면 칭찬을 적극적으로 해주시고 필요에 따라서는 그의 상응하는 보상도 잘 해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주변의 눈치를 아주 많이 본다면 말씀하신대로 집에서 교육이 너무 과하다고 볼 수 있을 것같습니다. 따라서 아이와의 상담을 확실하게 해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부모님의 육아 및 훈육방법에 대해서 너무하다는 생각이 있는지 무서운지 어떤지에 대한 상담을 해주시고 피드백을 확실히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아이가 어릴때 그렇게 한다면 아이들에게는 트라우마로 다가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심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아이를 위해서 즉각적인 대응을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눈치를 보는 것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다르게 말하면 상황 판단력이 빠르고 공감 능력이 뛰어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아이가 눈치를 보며 자신의 의사를 피력하지 못하거나 늘 주눅이 들어있는 소극적인 자세만 취한다면 부모님의 입장에서는 고민이 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지나칠 정도로 눈치를 보는 아이는 기질적으로 예민하고 소극적이며 수동적 성향이 강한 편 입니다.
이는 부모의 양육방식이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와의 애착이 불안정하고 부모와 감정 공유가 원활하지 못해 안정감을 느낄 수 없고 감정과 충동 조절, 공감능력이 바르게 확립되지 않아 아이는 눈치를 볼 수 있습니다,.
아이가 눈치를 보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모의 엄격한 훈육, 부모의 일관성 없는 육아, 감정 표현보다는 인내를 강조, 눈치가 없는 부모 등 입니다.
눈치보는 아이의 양육방법은 아이의 의사를 존중하고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라는 속담이 있듯 아이에게 칭찬을 많이 해주세요. 더나아가 아이를 너무 다그치지 말고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 주는 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에게 자존감을 높여줘야 합니다
작은 도전과 성공을 반복 시켜주시고 칭찬을 많이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눈치를 보는 습관이 있다는 것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의해서 비롯된다고 봅니다. 아이들을 너무 엄격하게 대하거나 통제를 할경우 자존감이 낮아지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사람들의 눈치를 많이 보게 됩니다. 아이가 다른사람의 눈치를 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작고 사소한 의사결정의 권한을 아이에게 주는 것도 좋으며 아이의 생각이나 의견을 존중해주고 어떤 일을 할때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수 있도록 격려와 지지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잘한일에는 칭찬을 많이 해주어서 아이스스로 자신감을 가질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으며 항상 열린마음으로 아이와의 소통을 많이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눈치 보는 습관이 있다면 본인이 가지고 태어난 성향일 수도 있고 환경으로 인한 후천적인 성향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잘한 일은 칭찬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해 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이를 존중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아이 앞에서 부부싸움을 하거나 아이에게 감정적으로 화를 내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일관성 있는 양육과 안정감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