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대출 관련 기사를 보면 DSR , DTI 등의 단어가 ?
안녕하세요, 요즘 대출 관련 기사를 보면 DSR , DTI 등의 단어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 어떤 대출은 DSR 제외이다 , 포함이다 등의 자료를 보다보면
궁금해서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DSR과 DTI에 대한 내용입니다.
DSR은 총부채원리금상환 비율로 소득 대비 모든 대출 원리금의 비율을 의미하고
DTI란 총부채상환비율로 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대출을 받으려는 고객의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눠서 계산합니다.
DTI(총부채상환비율)는 연간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액과 기타 부채의 연간 이자 상환액의 합을 연소득으로 나누어서 계산하게 됩니다.
DSR 제외는 가령, DSR 40% 이상의 경우 대출이 불가할 수 있는데 이를 무시하고 대출 심사를 하겠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1금융권은 DSR 40%까지 가능하고 2금융권은 50%까지 가능합니다. 연간소득의 40%를 넘어가는 차주는 은행 대출이 불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dsR과 DTI는 대출을 받을 때 금융기관에서 검토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DTI는 총부채상환비율로, 연간 소득 중 주택대출의 원리금과 기타대출의 이자 상환에 사용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반면 DSR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로, 연간 소득 중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에 사용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DSR은 DTI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주택담보대출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등 모든 대출의 원리금을 포함합니다. 현재 DSR은 최대 70%까지 허용되고 있으며, 대출액이 1억원을 넘으면 차주별 DSR 40% 규제를 받게 됩니다. 이는 전체 소득 대비 내야 하는 원리금이 40%를 넘을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다만, 전세대출, 중도금대출, 소액 신용대출 등 서민의 주거나 생계와 밀접한 대출은 DSR 적용에서 제외됩니다. 이러한 규제는 새로운 대출을 실행할 때만 적용되며, 기존의 대출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미 DSR 40%가 넘었다면 추가 대출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총부채상환비율)과 DTI(총소득대비대출상환비율)는 대출자가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각각 전체 부채 상환액과 소득 대비 상환액 비율을 나타냅니다. 일부 대출에서는 DSR이나 DTI 적용이 제외되기도 하며, 이는 대출 상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이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말하며 대출 심사에서 채무자의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모든 대출의 원금 + 이자가 연 소득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지 계산하여 수치가 추출 됩니다.
DTI란 총부채상환비율을 의미하며 주택담보대출의 연 이자 + 원금 일부가
연 소득의 몇 퍼센인지 계산하여 수치가 추출 됩니다.
쉽게, DTI는 주택담보대출 DSR은 모든 대출 포함된 수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DSR은 스트레스총부원리금상황비율로, 모든 신용대출 원리금을 포함한 총 대출 상환액이 연간 소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입니다. DTI는 총부채상환비율이라고 해서, 대출이용자의 연소득대비 대출 상환액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은 총부채 원리금 상환 비율을 말하며 총 소득 대비 전체 금융 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말합니다.
DTI는 총부채상환비율을 맣하며 연간 총소득 대비 주택 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액과 기타 부채의 이자 상환액 비율을 말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쉽게 말하면 소득대비 한도를 제한하는거라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DSR 50% DTI 50% 이렇게 하는건 각각의 원리금금액 기준으로
내 소득이 3000만원이라 쳤을때 DSR기준으로 원리금 산정했을때 DTI로 기준으로 했을때 1500만원까지만 원리금을 갚는 정도의 한도로만 빌려주겠다 입니다.
여기서 원리금 산정기준이 각각 다른데
DSR은 주담대의 원금 + 이자, 기타대출(신용대출 등)의 원금 + 이자 입니다.
DTI는 담대의 원금 + 이자, 기타대출(신용대출 등)의 이자 입니다.
DTI가 신용대출의 원금이 포함 안되니까 한도상 더 유리합니다.
그리고 이 원리금은 대출의 금리와 갚는 기간에 따라서도 연간 갚는 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것들에 따라 한도가 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은 내 연봉 대비 총부채 원리금 상환액을 비교한 것이고 DTI는 내 연봉 대비
현재 빌리려는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을 비교한 데이터입니다.
따라서 DSR이 좀 더 넓은 범위의 제한사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대부분 DSR한도로 적용을 받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