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자본잠식 상태에 있다는 것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건가요?
최근 티몬,위메프 사태가 한국에서 발생했는데 기사에서 자본잠식 상태라는 얘기가 많이 나오던데 이는 무엇을 의마하는건가요? 회사가 부도위기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란 기업의 누적된 적자로 인해 자본금이 줄어들거나 사라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기업이 자본잠식 상태에 빠지면 신용도가 낮아져 자금조달이 어려워지고 심각한 경우에는 기업의 존속 자체가 어려워질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의 자본 총계가 자본금보다 작아진 경우를 '자본잠식' 상태라고 말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기존 투자 금액을 까먹을 정도로 회사의 자금 융통이 좋지 않다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500만원을 모아 놓았는데 퇴사를 하여 더 이상 돈 벌 구석이 없다면 이 500만원을 쓰게 되고 말겠죠.
이러한 상태가 자본잠식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자본금이란 자본금은 주주가 출자하여 회사성립의 기초가 된 자금을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업의 자본잠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자본잠식이란 기업의 누적적자가 커져서
그 동안에 발생했던 이익 잉여금이 바닥이 나고
납입한 자본금까지도 잠식이 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나 개인사업자나 비슷하죠 간단하게 말하자면 회사 시작할때 투입한 돈이 자본금인데 이걸 사업하다 다 까먹고 남은거 없이 빚만 있다는 거죠 추가적인 사업 손실이 계속나면 회사 부도위기는 맞는데 그렇다고 딱 회사가 부도나는건 아닙니다 추가로 엔젤투자자가 나타나서 3자배정 유상증자가 나올수도 있구요 자본잠식 상태에서도 매출이 크게 있다면 돈이 돌아가니 어떻게든 끌고 갈수 있습니당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 상태는 회사의 자본이 부채보다 적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회사가 가진 돈보다 갚아야 할 돈이 더 많다는 것입니다. 자본잠식이 심해지면 부도위기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상황이 되면 회사 운영이 매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본(자본금, 토지, 금융자산, 매출채권, 재고 등) 보다 기업이 지출해야 할 금액의 총합이 더 커서 현재 상태로는 모든 지출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자본잠식이라는 말은 의미 그대로 해석한다면 자본이 계속 깎여 나간다는 말인데, 정확히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적자의 폭이 커서 순자산이 자본금보다 적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휴~위메프, 티몬 사태로 고통을 겪고 있을 자영업분들을 보면 안타깝기 그지 없습니다.
기업이 자본잠식 상태에 놓여 있다는 말은 보유하고 있는 "순자산"이 회계 상 자본금보다 적은 상태를 말합니다.
순자산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을 말합니다.
이러한 순자산이 실제로 가지고 있어야 할 자본금보다 부족한 상황 인 것 입니다.
실제로 기업이 지속적으로 적자를 내서 오래 동안 손실이 누적되거나 과다한 부채를 지게 될 경우 이러한 현상이 발생 합니다. 이번에 티몬, 위메프의 경우 과도한 인수합병을 시도 하는 과정에 과도한 부채가 주요 원인이지 않을까 추정 합니다.
실제로 이런 자본잠식 상태가 오래 동안 개선 되지 않으면 파산 위험이 커지기에 주식 시장에서 퇴출 되는 원인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은 별점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란 기업의 자본금이 손실로 인해 완전히 소실된 상태를 말하며, 기업이 소유한 자산보다 부채가 많아져 자본이 마이너스가 되는 상황인데요. 자본 잠식은 보통 두 가지 형태(부분 자본잠식, 완전 자본잠식)로 나뉘며, 파산절차는 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에서 적용되고 있는데요.부분잠식 상태는 기업이 여전히 자산을 가지고 있으며 재정 상태를 회복할 가능성이 있기에 파산 절차를 거치지 않을 수 있으나,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서는 자산보다 부채가 많기에 법인 파산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자본잠식 상태에 있다는 것은 자산보다 부채가 더 많아서 순자산이 음수인 상태를 말합니다. 즉, 기업의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여 기업의 순자산이 마이너스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자본잠식 상태가 지속될 경우 기업의 경영안정성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 상태라는 것은 기업의 적자가 계속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서 잉여금이 마이너스가 되는 것으로 자본잠식 상태라고하여
무조건 부도가 나는 것은 아니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재무제표의 의 자본 총계가 자본금보다 작아진 때를 말하는것이며 간단히 말하자면 회사가 기본 투자금액을 까먹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회사가 기존의 투자자들의 자본 투자금을 잠식하는 상황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며 자본 잠식 선언은 매월 갚아야하는 이자와 원금이 매월 벌어들이는 수익보다 큰 상태와 다름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 구성은 자산 = 부채 +자본이며 자본 항목에는 자본금 이라는 항목이 있으며 이것은 회사가 설립할 때 처음 납입한 출자금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그동안 축적된 누적이익잉여금항목이 존재합니다. 만약 기업이 회계상의 매년 손실이 발생하게 되면 이로 인한 결손금이 발생하고 이 부분은 재무제표의 자산 항목과 자본 항목이 줄어드는효과가 발생됩니다.
이렇게 누적된 손실로 인하여 기존에 자본항목에 이익으로 누적된 이익잉여금을 까먹게되고 이 부분이 결손금이 발생되어 초기에 투자자들이 납입한 자본금을 줄어드는 경우를 부분자본잠식이라고 하며 이 손실이 지속되어 결국 자본금까지 완전 마이너스가 되어 자본금항목이 다 마이너스가 나고 부채만 남게되는 상황을 완전 자본잠식에 빠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경우에는 모든 자산보다 부채항목이 더 큰 회사의 기업 존폐여부가 발생되며 기업이 파산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란 기업의 누적적자가 커지면서 그동안 발생했던 이익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했던 자본금까지 잠식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기업이 영업활동을 함에도 벌어들이는 이익보다 나가는 지출이 더 많아짐에 따라 적자가 누적되는 상황에서 자본잠식이 발생하며, 재무건정성을 악화시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자본잠식 상태에 있다는 것은 기업의 손실이 누적되어 자본이 마이너스 상태, 즉 잠식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자본잠식이 심각하면 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결국 파산이나 회생 절차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원 투자금을 잠식하는 상황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며, 자본 잠식 선언은 사람으로 따지면 매월 갚아야하는 이자와 원금이 매월 벌어들이는 수익보다 큰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