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을 상승시에 발생하는 경제현상은 무엇인가요?
최저임금이 상승시에 발생하는 장단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그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회현상 등등도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이 상승하게 된다면 저소득층의 수입이 증가하여 사회적인 불평등을 일부 해소할 수 있지만, 반대로 소상공인이 인건비 부담으로 오히려 구인을 줄여 실업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최저임금 증가는 임금 상승의 영향으로 기업의 수익성 악화에 따른 소비과 투자 감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 임금이 상승하게 되면 우선 직접적으로 저소득층의 소득이 증대하여 소비가 확대되고 소득 격차가 완화 되는 긍정적인 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의 비용이 증가하면서 오히려 고용이 축소(특히 자영업자 또는 중소기업이 더 큰 영향을 받죠)되고 특히 청년, 저숙련자 노동자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역효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으로 자영업자 폐업이 증가하고 물가 상승 압력, 노동 시장 이중 구조가 심화 될 수 있기에 무조건적으로 최저임금이 상승한다고 좋은 것 만은 아닙니다.
이는 근로 시간 단축 논의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 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이 올라가면 물가가 올라간다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별로 상관이 없습니다 중소기업에 다니는 사람들이나 대기업 다니는 사람들은 최저 시급과 별도로 연봉 협상을 합니다 전혀 상관이 없지는 않습니다만 그런 부분들이 있고요 최저 시급을 받는 비정규직들 아르바이트생들이 500만 원 1,000만 원 받는 사람들보다 소비를 많이 할 수도 없습니다 제 주변에 최저 수급 받는 사람만 보더라도 월세 내고 차도 못 사고 많은 지출을 하지 못합니다 또한 최저 시급 받는 사람이 이마트에 가지 않습니다 동네 편의점에 간다는 얘기지요 소수의 고소득자들이 경제 활동을 하는 것보다는 저소득층들이 경제 활동을 해야 자영업자들이 살 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고소득층들이 동네 일반 음식점이나 마트에 안 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최저임금 상승시 발생하는 경제현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최저임금이 상승하게 되면 소비 여력이 늘어나서 소비가 활발하게 되며
이는 생산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다만, 동시에 물가 상승이라는 반대급부가 발생하게 됩니다.
최정임금의 상승시 저임금 노동자들의 소득 증가가 가장 큰 영향일것 입니다. 이로 인하여 가계의 소비 여력이 커지고 국내 내수시장 또한 활성화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저임긍의 증가로 인해 고용 감소 가능성도 커질 수 있으며 중소기업이나 영세 자영업자는 비용 부담도 커지게 되므로 정부의 정책적인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의 장점으로는 소득격차 감소, 소비 증가, 노동의 질적 향상, 저소득층의 빈곤 감소 등이 거론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최저임금이 너무 급격하게 인상되면 고용감소와 물가상승, 기업의 생산비용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최저임금 인상에 장단점을 면밀히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에서 인상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결정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 임금이 상승하면 가장 큰 경제 변화를 인플레이션입니다. 물가 상승이 전반적으로 생길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자영업이니 기업의 이익이 단기적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 상승시 물가는 반드시 상승하게 되며 이로인해 실질소득은 감소한다고 보면 됩니다.
최저임금 상승보다 더 크게 물가가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 상승은 경제와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현상을 야기합니다. 기업의 인건비 부담이 직접적으로 증가합니다. 이는 특히 소규모 사업자나 인건비 비중이 높은 서비스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증가한 노동 비용이 상품 및 서비스 가격에 전가되어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최저임금 인상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마다 다른 결과를 보이기도 하며, 그 영향이 미미하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인건비 부담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은 신규 채용을 줄이거나 기존 인력을 감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동화 설비 도입을 촉진하여 노동 수요를 감소시킬 가능성도 있습니다.
최저임금이 상승되면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 소득 격차 완화, 내수 활성화 기여가 있습니다. 하지만 고용 불안정 심화,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부담이 가중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은 우리나라가 최근에 계속 해서 올렸습니다 그래서 요즘 우리나라 사회적인 현상이 보면 자영업자들이 힘든게 최저임금 상승과도 연관이 큰거 같습니다 알바들 고용해도 주휴수당까지 주려면 인건비 부담이 상당해서 그냥 자영업하시는 분들이 직접 더 일을 하는 경우가 허다한거 같네요
그러니 최저임금이 과도하게 오르면 인건비 상승으로 물가가 오르고 인건비가 비싸서 고용을 못하니 실업률도 오르는 부작용이 생기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 상승 시 발생하는 장점으로는 저임금 노동자들의 삶이 개선될 수 있고, 결국 이들의 소비력 증가로 경제 활성화에 조금은 진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소득분배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어서 경제적 불평등이 조금은 완화됩니다.
반면, 단점으로는 기업의 부담이 커지면서 기업 경영난으로 부도가 발생하는 기업이 생길수 있고, 이에따라 고용이 축소되면서 일자리가 감소해 실업률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품과 서비스 질이 안좋아지거나 오히려 가격이 상승해서 실질적인 소비 감소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이 상승하게 되면 우리나라 경제에 두가지 효과가 발생하는데 먼저 근로자 측면으로는
가처분 소득이 늘어나기 때문에 평소보다 더 많은 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공급자 측면에서는 평소보다 더 많은 비용이 나가기 때문에 이를 소비자에게 전가하게 되면서
물가가 더 상승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내수 시장이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