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세금·세무

취득세·등록세

똥나와라뚝딱
똥나와라뚝딱

전기차 보조금을 주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휘발유나 경유 같은 경우 상당히 많은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는걸로 아는데요

안정적으로 확보 할 수 있는 세금까지 포기하면서 전기차 확대하는 이유는 뭘까요

그리고 나중에 전기차 시장 점유율이 50% 되고 그러면 기름에서 충당하던 세원은 어디서 확보 하려는 걸까요

이로 인해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는 사람들의 간접세가 늘어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호균 세무사입니다.

    정부가 전기차(EV)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탄소 배출 감소 및 환경 보호

      • 내연기관차(가솔린, 디젤 차량)는 이산화탄소(CO₂)와 미세먼지를 배출하지만, 전기차는 운행 중 배출가스가 없습니다.

      • 탄소중립(Net-Zero) 목표 달성을 위해 친환경 차량 보급을 장려.

    2. 신기술 및 산업 육성

      •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 배터리, 충전 인프라, 소프트웨어 등 관련 산업이 발전할 수 있습니다.

      • 이에따라 기술 경쟁력 확보 및 일자리를 창출 할 수 있습니다.

    3. 대기오염 개선 및 국민 건강 증진

      • 내연기관 차량이 배출하는 질소산화물(NOx), 미세먼지(PM)는 호흡기 질환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 전기차 확대를 통해 대기질 개선 및 공중보건 비용 절감시킬 수 있습니다.

    세수와 관련하여 당장은 유류세가 감소하여 조세수입이 줄 것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길게 본다면 전기차를 이용하는 것이 국가경쟁력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1. 에너지 안보 강화

      •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전력을 활용한 운송수단으로 전환하여 에너지 공급원을 다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2. 국내 전력 생산량 증대 및 세수증대

      • 전기차 전환을 통해 석유 수입을 감소시키고 자국 내 전력 사용 증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는 석유가 나오지 않으므로, 석유를 수입하고 판매하는 경우 국가경쟁력에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반면 전력의 경우 우리나라에서 생산, 판매하므로 국가경쟁력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주행거리기반 도로세 부과

      • 일부 국가에서는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세수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주행거리 기반 도로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1. 전기차는 석유나 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보호차원이라고 생각하여 지원금을 주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이로 인하여 세수가 줄어들 경우, 다른 세목으로 부과할 수는 있겠으나, 미리 예측하는 것은 큰 의미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