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동물 세포는 식물과 달리 지방산을 이용해서 당을 합성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식물세포 같은 경우에는 지방산을 이용해서 포도당을 합성할 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 동물세포의 같은 경우에는 지방산을 이용해서 포도당을 합성할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지방산 분해산물인 아세틸CoA가 동물세포에서 포도당의 전구체로 전환될수 없기때문입니다.

    동물세포는 지방산은 산화시켜 아세틸 CoA로 만들지만, 글리옥실산 회로가 없기때문에 지방산으로부터 당을 직접 만들어낼수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글리옥실산 회로가 없기 때문입니다.

    지방산은 베타 산화를 통해 아세틸-CoA로 분해되는데, 동물 세포의 경우, 아세틸-CoA는 주로 TCA 회로(시트르산 회로)에 들어가 ATP를 생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문제는 이 회로 과정에서 아세틸-CoA의 탄소 2개가 이산화탄소로 모두 방출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아세틸-CoA의 탄소를 이용해서 새로운 탄소 골격, 즉 포도당을 만들 수 없는 것입니다.

    반면 식물 세포에서는 글리옥시솜이라는 특수 소기관에서 글리옥실산 회로가 가동되는데 이 회로는 TCA 회로의 일부 단계를 건너뛰고 아이소시트르산 분해효소와 말산 생성효소를 거치며 아세틸-CoA의 탄소가 이산화탄소로 방출되지 않고, 석신산이라는 4개의 탄소를 가진 물질로 생성됩니다. 이 석신산은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여 TCA 회로의 일부 과정을 거친 후, 세포질에서 포도당 신생합성을 통해 포도당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입니다.

  • 동물 세포는 지방산을 이용한 당 합성에 필요한 글리옥실산 회로를 구성하는 효소들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회로는 식물, 균류, 일부 세균에서 발견되며, 지방산 분해로 생성된 아세틸-CoA를 이용하여 호박산과 말산 등을 거쳐 포도당을 합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하지만 동물 세포에는 이 회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지방산을 당으로 전환하는 경로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동물같은 경우에는 지방산을 이용해서 당을 신생할 수 없는데요, 지방산은 β-산화 과정을 거쳐 탄소 2개로 이루어진 Acetyl-CoA로 분해되는데 Acetyl-CoA는 피루브산이나 옥살로아세트산(OAA)으로 역전환되지 못합니다. 이는 TCA 회로(시트르산 회로)의 피루브산으로부터 Acetyl-CoA 단계(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반응)는 되돌릴 수 없는 반응이기 때문입니다. 즉, Acetyl-CoA는 TCA 회로에 들어가면 이산화탄소로 날아가 버려서, 새로운 포도당 합성에 기여할 수 없습니다. 반면에 식물의 경우에는 지방산을 Acetyl-CoA로 분해한 뒤, 글리옥실산 회로(Glyoxylate cycle)를 통해 옥살로아세트산(OAA)을 만들 수 있는데요, OAA는 포스포엔올피루브산(PEP)으로부터 포도당으로 이어지는 당 신생 과정(gluconeogenesis)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지방(특히 종자 속 기름)을 포도당으로 바꿔 발아 시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